20일 이동평균선으로 본 매수 및 매도 신호의 여러가지 유형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이동평균선

20일 이동평균선으로 본 매수 및 매도 신호의 여러가지 유형

by 기본을 지키자 2024. 11. 24.
728x90

며칠 동안 매수신호와 매도신호를 주가의 종가를 기준으로 보기 위해 1일선과 20일선을 기준으로 매수와 매도의 신호를 파악하여 보았다.
5일선을 주가의 가격으로 설정하고 이동평균선은 20일선으로 설정한 것이다. 스윙보다는 단타에서는 이 설정이 적합하고 만일 이동평균선 50일선을 설정하는 것은 스윙에서 적합하다.


- 상승추세일 경우 가격이 5일선을 기준으로 봤을 때 양봉의 시가는 5일선 밑으로 너무 떨어지지 않고 음봉일 때 종가는 5일선 밑으로 너무     떨어지지 않으면 추세는 상승추세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하락 추세일 경우 음봉일 경우에는 시가가 5일선을 넘어서지 않거나 양봉일 경우에는 종가가 5일선을 넘어서지 못한다면 기존 하락추세가 계속되는 경우가 많다.

-고점이 세 번이상 되면 추세는 바뀔 가능성이 높고 저점이 세 번 이상 확인 되면 반전할 가능성이 높다.

보수적인 추세전환을 판단하려면 200일선을 기준으로 보는 것이 좋다.

이동평균선으로 본 매수 신호 및 매도 신호의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은 반드시 지켜야 할 규칙이 있다.
-반드시 기준이 되는 이동평균선은 매수신호에서는 상승추세 중에 있어야 한다.
상승 추세중에 있는 조정은 다시 재 상승 가능성이 높다.
-반드시 기준이 되는 이동평균선은 매도신호에서는 하락추세 중에 있어야 한다.
하락 추세중에 있는 조정은 반등하였어도 다시 하락한다.

다음은 매수신호의 각종유형들이다
가격과 이동평균선과의 간격의 어느 시점에 넓어졌다가 좁아졌는지 그리고 이동평균선과의 주위로 가격이 등락반복을 하는지를 파악해서 고점과 저점을 연결하여 박스권을 만들어 주가의 상향이탈과 하향이탈을 잘 살펴봐야 한다.
또한 주가가 너무 과대 낙폭이 되고 과매도된 상태에서 상승반전신호가 있다면 단타로서 수익을 얻을 수 있으니 기회를 잡아야 한다.

가격과 이동평균선과의 폭이 넓어졌다가 좁아지면서 주가는 이동평균선 위로 올라갔고 가격과 이동평균선과의 폭이 일정한 것을 보여주며 주가는  계속적으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매도신호의 각종유형들을 보여준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