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리형 도지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캔들과 캔들 패턴의 해석

잠자리형 도지

by 기본을 지키자 2024. 11. 14.
728x90

잠자리형 도지

잠자리형 도지는 시가와 종가와 고가가 같은 캔들을 잠자리형 도지라고 한다. 

시장의 심리를 보면 장중에는 주가가 하락하여 저가를 형성하였지만 장중에 저점이었던 주가는  매수세의 시장압력으로 장 마감 시에 주가는 다시 올라가 종가가 고가를 형성하며 결국에는 시가와 종가가 고가가 같아져 잠자리형 도지가 생성된다.

잠자리형 도지는 지지영역을 확인시켜 주며 비석형의 도지와는 다르게 강세형이다. 특징은 아래그림자가 길 수록 더욱 반진신호의 역할을 지닌다.

몸통이 짧은 망치형과는 다르다. 망치형은 시가와 종가가 좁은 몸통이 짧은 캔들이며 잠자리형은 시가와 종가 그리고 고가가 일치한다는 점이 다르며 신호의 크기를 보면 몸통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기존 시장의 약세를 드러낸다.

도지는 어떤 위치에 있고 기존의 추세가 있었는지에 따라 반전신호로서의 역할이 달라진다. 만일 박스권 상태에 놓인 주가는 중간에 도지형이 나타난다 하러라도 큰 의미가 없다.  박스권이라도  위의 천장이나 아래바닥에 있을 때는 반전신호로서 의미가 있다. 

잠자리형은 때로는 상승세로서 교수형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교수형도 다음 날의 캔들이 교수형의 몸통보다 아래로 시가가 시작된다면 하락반전신호로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지지선에서 망치형으로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주가의 저점에서 망치형이 나오고 다음 날에 잠자리형 도지가 나온다면 저점의 지지선임을 확인시켜 하락세가 줄어들어 이젠 상승할 일만 남았다고 알려주는 것이다.

추세중간이나 박스권 중간에 나타난 도지형들은 큰 의미가 없다

추세의 중간이나 박스권의 중간에 나타난 도지형들은 기존의 추세가 계속되는 경우가 많다.

도지형이 의미를 가지려면 상승추세와 또는 하락추세와 함께 해야 하며 고점과 저점에 나타나는 경우가 반전신호의 견인역할을 한다.

박스권 안에 있는 도지

추세의 저점에 나오는 도지형은 반전신호를 가지지만 중간에 나온 도지들은 기존의 추세가 유지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저항선에 나타난 잠자리형 도지형

 

전 고점에서 저항영역이 발생하였고  주가는 다시 하락하였다가 장대양봉이 출현 후  저항영역에 부딪혔으며 다음 날은 장대양봉의 고가와 똑같은 음봉의 고가가 같은 캔들이 나타나 하락집게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다음 날 잠자리형 도지가 나타나 추세의 약해짐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다음 날도 비석형 도지로서 추가적인 하락세의 진행을 확인시켜 주었다.

박스권안의 도지형

박스권에서의 도지형은 큰 의미가 없다.

하지만 박스권에서도 박스권의 바닥에 생긴 도지형이라면 반전신호로서 의미를 갖는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