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석형도지 캔들을 보면 시가와 종가 그리고 저가가 같은 것을 알 수가 있고 고가와는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몸통의 크기도 시가와 종가가 같기 때문에 몸통의 크기는 일직선이다. 일직선이 아니더라도 시가와 종가가 가까워 몸통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석형도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가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도지로서 의미를 부여할 수가 있다.
- 상승세의 고점에서 나타나거나 하락세의 저점에서 도지형이 나타날 때 그러한 경우이다.
- 주가가 과매수 상태이거나 과매도 상태일 때 도지형의 의미를 갖는다.
- 주가가 여러 큰 캔들이 나오다가 오랜만에 몸통이 짧은 도지형이 나오면 의미가 있다.
- 주변에 몸통이 짧은 팽이형이 많다가 도지형이 나오면 그렇게 큰 의미가 없다.
그러면 비석형도지 캔들에 대한 시장심리를 파악해 보자.
비석형도지가 생긴 이유를 시장심리를 통해 살펴보면 장 시작 처음에는 시가로부터 주가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몸통의 크기는 점점 시가로부터 위로 올라가게 된다. 즉 매수세의 시장장악력이 매도세를 압도하고 있는 것이다. 점점 몸통이 시가로부터 멀어지고 위로 커지면서 매수세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긴 장대양봉을 생성하고 있다. 이것은 공급보다는 수요가 많다는 의미가 된다.
이에 거래량도 점점 증가하여 거래량의 크기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어떤 이유인지 여러 가지 시장변수로 인해 꽤 많이 높이 올라갔던 주가는 고점을 형성하고 주가는 다시 점점 하락하다가 결국 장 마감 때에는 시작가와 종가가 같은 상태가 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주가가 고점에 머물러 시장지배력을 잃어버렸던 매도세력이 다시 한번 시장을 장악함으로써 매도세의 압력이 커지고 매수세의 시장장악력은 점점 약해져 장 마감 때에는 매수세의 압력이 소멸된 것이다.
특히 위 그림자가 아주 길고 주가의 고점에서 출현하였다면 완전한 하락반전신호이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때는 거래량의 크기도 크다. 거래량을 잘 살펴보면 매도세거래량이 매수세거래량보다 비율이 크다.
즉 비석형의 도지는 시장의 약세를 나타내주는 캔들이다.
특히 비석형도지의 출현 위치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진다. 상승세중에 생긴 비석형도지 , 특히 상승세 고점에서 생긴 비석형도지는 하락반전신호를 나타내며 저항영역을 갖는다. 또한 장대양봉 뒤에 나타난 비석형 도지는 하락반전신호로서 의미가 더 크다. 유성형 캔들과 마찬 가지로 저항선을 나타내며 하락반전신호를 갖는다.
중간중간에 팽이형 캔들에 껴있으면 그렇게 큰 의미는 없다. 또한 하락세중에 비석형도 지가 출현하면 역망치형 도지와 같은 성격으로 주가의 저점임을 암시해 주고 다른 상승 반전신호와 함께라면 지지영역임을 재 확인 시켜주기도 한다.
정리하자면
- 위치에 따라 비석형의 도지는 의미가 달라진다.
- 위 그림자가 길 수록 반전신호가 크다.
- 중간에 나타나거나 중간중간에 팽이형 캔들이 같이 있다면 큰 의미가 없다.
- 과매수 또는 과매도 일 때 의미가 있다.
- 장대양봉 뒤 또는 장대음봉 뒤에 나타나는 비석형도지는 의미가 있다.
작은 비석형 도지가 나왔지만 주변에 도지형과 팽이형들이 많아서 비석형도지는 큰 의미가 없다.
하락세 중에 나타난 도지라도 그전에 비석형도지형이 의미가 없다면 별 다른 의미가 없다.
하락세중 장대음봉 뒤 비석형도지는 의미를 갖는다. 주가의 저점을 알려주고 상승반전신호로서의 역할을 한다.
비석형 도지는 때때로 지지선을 재확인 하는 역할을 한다. 장대양봉의 지지선영역임을 비석형도 지형과 키다리도지형과 십자형이 도지형이 연속적으로 지지영역임을 알려주고 있다.
상승세 중 고점에 나타난 비석형 도지는 하락반전신호이다.
고점에서 나타난 비석형도지는 하락반전신호로서 역할을 한다. 그 며칠 전부터 위그림자가 긴 캔들이 출현함으로써 주가의 고점인 것을 암시하고 있으며 비석형과 하락장악형 캔들이 출현함으로 주가는 하락하기 시작하였다.
장대음봉뒤 비석형도지는 주가의 저점임을 시사해 준다. 장대음봉 뒤 비석형도 지가 나와 저점인 것을 알려주고 캔들의 패턴은 잉태형으로서도 상승반전신호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다음 날 아래꼬리가 긴 양봉이 나오며 도지를 완전히 감싸 추세가 전환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캔들과 캔들 패턴의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다리형 도지 (0) | 2024.11.13 |
---|---|
도지형 캔들패턴의 진짜 의미: 반전인가? 암시인가? (2) | 2024.11.12 |
도지형 캔들의 심리 해석과 실전 반전 신호로의 활용법 (0) | 2024.11.10 |
하락갈림길형 패턴 (3) | 2024.11.09 |
상승갈림길형패턴 (3)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