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갈림길평 패턴은 지속형 패턴이다.
하락추세 중에 생기는 패턴으로서 전날의 시가와 다음 날의 시가가 같으며 캔들의 색깔은 서로 달라야 한다. 예를 들어 하락세중에 나타나는 첫 번째 캔들은 양봉의 캔들이 나타나고 다음 날에는 음봉의 캔들이 나타나는 형태이다.
해석을 해보면 하락 중에 양봉이 출현하여 매도세가 멈추고 매수세력이 시장을 장악한 것을 보여주면서 주가의 하락세가 멈춘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다음 날 시가가 장대양봉의 시가와 비슷하거나 같은 시점에 시작하여 장 마감시간에는 종가가 아래로 내려가 장대음봉을 만들었다.
하락갈림길형의 두 번째 캔들의 이상적인 형태는 장대음봉이며 저가와 종가가 거의 같은 형태이다. 상승갈림길형태의 패턴도 마찬가지로 이상적인 형태는 두 번째 캔들이 장대양봉의 샅바형이다. 종가와 고가가 거의 비슷하거나 같은 형태를 말한다.
이 패턴의 형태는 상승 중 고점에 나타나면 저항영역임을 알려 주는 신호가 되며 박스권에서는 하락이탈의 신호가 되기도 한다.
- 지속형 패턴이다.
- 대부분 하락세중에 나타나며 첫 번째 캔들은 양봉이며 두 번째 캔들은 음봉이다.
- 양봉의 시가와 음봉의 시가가 거의 같거나 비슷하다.
- 상승고점에서 나타날 때에는 저항영역임을 보여준다.
- 박스권에서는 하락이탈 신호이다.
하락세중에 나타난 하락갈림길형 패턴이며 장대양봉의 시가와 다음 날 음봉의 시가가 비슷하다.
이상적인 형태는 아니지만 신호는 유효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하락갈림길형 패턴이며 상승중 고점에서 나타났으며 하락갈림길형의 패턴이 나타난 곳이 저항영역임을 알려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패턴의 앞에 잉태형과 위 그림자가 긴 음봉의 캔들이 나와 저항선임을 알려주었는데 다음 날 하락갈림길형의 패턴이 출현함으로써 저항영역임을 재확인시켜 주고 있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캔들과 캔들 패턴의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석형도지 (4) | 2024.11.11 |
---|---|
도지형 캔들의 심리 해석과 실전 반전 신호로의 활용법 (0) | 2024.11.10 |
상승갈림길형패턴 (3) | 2024.11.08 |
하락삼법형 (2) | 2024.11.07 |
상승상법형 (0)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