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위의 도지형은 삼별형의 천정과 바닥을 보여준다.
삼별형 도지는 세 개의 도지가 상승세의 고가를 기록할 때 출현한다.
이상적인 삼별형의 도지는 가운데의 도지가 첫 번째와 세 번째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림자는 서로 겹쳐도 의미 있는 삼별형의 도지가 되며 다만 몸통은 서로 겹치지 않아야 한다.
시장심리적으로 보면 다른 도지형과 마찬가지로 상승세 중에 나타나면 매수세의 시장장악력이 약해져 주가의 흐름을 횡보세로 만들거나 추가적인 다른 반전신호와 함께 확실한 반전신호로 삼는다.
또한 도지형이 전 고점의 저항영역이나 저점의 지지영역을 재 확인 시켜주는 경우에는 신호의 의미가 더 커지므로 중요한 반전신호가 되니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삼별형의 변형으로서 작은 몸통의 그림자가 큰 키다리형도 지와 , 석별형, 비석형, 잠자리형등 여러 가지 형태의 도지가 세 개 연속으로 상승세의 고점에 출현하는 것도 삼별형의 도지로서 유의미한 의미를 가진다.
이것은 하락의 저점에서 출현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적인 형태가 아니더라도 몸통만 서로 겹치지 않는다면 삼별형의 반전신호로서의 유의미한 의미를 갖는다.
시장심리의 매수세와 매도세의 줄다리기의 싸움에 매수세가 약해져 시장은 너도 나도 팔고자 하는 심리로 변하여 공급물량이 많아지고 삼별형은 더 이상 주가의 추세가 상승세로 이어지지 않고 고점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 날 캔들의 종가가 첫 번째보다 높았지만 여전히 시장의 심리는 매도하려는 사람들의 심리가 더욱 장악하여 두려움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도지형의 캔들이 만들어진다. 세 번째 날의 종가의 위치가 두 번째 캔들의 종가보다 낮게 형성하여 시장은 더욱 매도세의 압력이 더욱 커져 주가는 더욱 하락하게 된다. 너도 나도 매도를 하려는 심리가 더욱 강해지고 불안해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삼별형 도지가 형성된다.
이는 삼별형의 바닥에서도 똑같은 시장심리가 적용된다.
주가의 저점임을 두어 번 재 확인 해주는 계기가 되어 주가는 다시 재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삼별형 도지가 출현했다.
몸통이 서로 겹치지 않고 상승의 추세 끝에 나타나 고점을 인 것을 암시하고 있고 다음 날 캔들의 음봉의 고점이 삼별형의 저항선영역임을 재확인시켜주고 있다. 그 이후로 주가는 계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삼별형의 바닥을 보여주고 있다.
주가의 하락추세 중에 나타나 주가의 저점임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음봉 역망치형의 저점이 지지영역임일 재 확인 시켜주고 있어 주가는 다시 재 상승하고 있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캔들과 캔들 패턴의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캔들군(저항영역) (0) | 2024.11.29 |
---|---|
캔들군(지지영역) (0) | 2024.11.29 |
도지형의 캔들의 해석 (2) | 2024.11.15 |
잠자리형 도지 (0) | 2024.11.14 |
키다리형 도지 (0) | 2024.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