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차트를 보면 전날 고가와 현재 캔들의 저가 사이에 빈 공간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것을 상승창 또는 갭상승이라고 한다.
창은 지속신호이며 상승추세 중에 갭상승이 나오면 강세신호가 된다. 이것은 기존의 추세가 계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캔들형태의 조건은 전날 캔들이 고가와 현재캔들의 저가이다. 즉 그림자까지 포함시켜 잘 살펴봐야 하며 그림자가 서로 겹치치 않는다면 전형적인 상승갭이라고 할 수가 있다.
상승갭은 시장의 강한 매수 심리로 인해 시가가 전날 캔들보다 높게 시작되고 종가가 고가에 가까워지는 경우가 많을수록 강한 매수심리로 봐야 한다.
하지만 갭상승 후 시장은 과매수된 상태로서 기존의 매수자들은 수익실현하며 과매수된 시장심리 상태가 조금씩 풀리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약간의 조정을 거쳐 주가가 횡보하기도 하고 하락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존의 강한 시장매수 심리에 의해 미리 선점하지 못해 아쉬워하는 매수대기자들로 인하여 기존의 상승추세가 계속 이어진다. 이때 거래량이 늘어나는지를 함께 지켜봐야 한다.
갭상승이 나타났을 때의 매수시점은 갭상승을 형성하고 잠깐동안 조정을 받아 하락할 때가 매수시점이 된다.
하지만 조건이 있다. 상승창은 전날의 고가는 창의 바닥이 되는 거고 현재의 캔들의 저가는 천정이 된다. 조정을 받아 하락할 때 캔들의 종가가 천정을 지나 바닥까지 밑으로 내려가지 않으면 다시 재상승한다. 또한 주의해야 할 것은 종종 장중에는 주가가 바닥밑으로 내려갔다가 장마감에는 다시 위로 올라가 종가가 바닥 위 또는 천정 위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는 다시 기존의 추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만일 종가가 저가 가까이 가서 창의 바닥 밑으로 내려가면 이전의 추세는 이어지지 않는다.
창의 특징은 이런 역할 때문에 지지영역이나 저항영역이 될 수가 있다. 상승창에서는 지지영역의 역할을 하며 상승창의 크기와 상관없이 작든 크든 지지역할을 한다.
만일 아래그림자가 긴 캔들이 상승창의 천장가까이 오거나 아래 그림자는 바닥에 닿을 듯하고 종가는 천정 위로 형성되었다면 많은 매수자들이 대기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강한 공격자들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하지만 언제나 매수할 때에는 손실제한설정을
해둬야 한다. 혹시 주가는 바닥아래로 하락할 수도 있으니 손실제한설정을 상승갭 바닥의 가격에 걸어놔야 한다.
그리고 상승창 후에 유성형처럼 하락반전 신호가 나왔어도 상승창의 강세가 더 크기 때문에 주가는 하락하지 않고 기존의 추세를 이어가는 경우가 많다.
예외도 있는 데 갭상승을 하였지만 갭상승후 키다리 도지형이 나타났다면 매수세가 시장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하였다는 것으로 여겨져 주가의 하락세가 예상된다.
하지만 망치형이나 잠지라형 도지가 나온다면 기존의 추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갭상승 후 상승창의 바닥이 지지영역이 되어 주가는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며칠 후 다시 갭상승이 발생되어 주가의 강한 매수세를 보여주고 있다.
갭상승 후 유성형의 캔들이 나타났다. 상승추세 고점에서 생긴 유성형은 하락반전신호이지만 갭상승의 신호가 더 강세이기 때문에 기존의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다음 날 완전한 망치형은 아니지만 변형된 망치형으로써 장중에 저가는 창의 바닥까지 내려왔지만 장중에 다시 위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줘 바닥이 지지영역임을 재확인시켜주고 있다.
갭상승의 폭이 작아도 지지선의 역할을 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상승창의 천장이 지지선 역할을 하며 천장 가까이에 상승 반전신호인 망치형과 십자형 도지가 가까이 다가와서 매수세가 형성된 것을 알 수가 있고 그 후로 주가는 상승한 것을 볼 수가 있다.
상승창의 지지선에 긴 아래그림자가 내려와 매수세가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이 처럼 지지영역에 가까이 상승반전신호가 출현하는지를 잘 살펴봐야 한다.
이처럼 갭의 폭의 크기와 상관없이 지지와 저항역할을 하며 반전신호들이 지지선과 저항선에 가까울수록 기존의 추세가 다시 진행될 확률이 높다.
상승창의 또 다른 특징은 상승창의 갭이 클 수록 지지영역이 그다지 견고하지 않다.
첫 번째 사진의 차트에 나온 갭상승 처럼 갭의 크기가 크다면 창의 바닥이 지지영역의 역할을 한다. 갭상승은 크기와 상관없이 지지영역 역할을 하지만 크기와 비례하여 지지영역이 될 수 있는 구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상승창의 갭의 간격이 클 수록 창의 바닥에서 지지영역이 될 가능성이 더 크다.
그리고 실제 차트에서는 여러개의 상승창이 나올 때가 있는데 주가의 추세가 변하여 주가가 하락할 때 갭상승의 갭의 간격을 지지선으로 삼는다. 만일 맨 위의 갭의 간격을 지지영역으로 삼았는데 주가는 지지영역 밑으로 하락한다면 다음 갭의 바닥이 지지영역이 되어 주가의 방향을 잘 살펴봐야 한다. 갭상승이 있는 구간은 유심히 잘 살펴볼 이유가 있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캔들과 캔들 패턴의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락갭 타스키형 (0) | 2024.10.28 |
---|---|
하락창(갭하락) (0) | 2024.10.26 |
상승캡 타스키형 캔들 패턴 완벽 분석 | 상승 지속 신호 해석법 (2) | 2024.10.25 |
탑형 천장 (4) | 2024.10.18 |
탑형 바닥 (2) | 2024.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