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형 천장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캔들과 캔들 패턴의 해석

탑형 천장

by 기본을 지키자 2024. 10. 18.
728x90

탑형 천정패턴

탑형 천장은 주가가 상승 중 고가영역에서 나타난다.  상승 중에 장대양봉이 나타나고 다음에 몸통이 짧은 캔들이 연달아 나타나면서 주가의 분산상태를 만든다. 즉 매수세의 상승여력이 줄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어서 거의 장대양봉과 비슷한 크기의 장대음봉이 출현하면서 탑형천장을 완성시킨다.

때때로 장대양봉과 장대음봉 사이에  그 전날 캔들의 몸통을 감싸는 하락장악형과 다른  하락반전신호를 가진 캔들이 나오고 장대음봉이 출현하여 주가의 하락을 예견하기도 한다. 장대양봉과 장대음봉사이에 특히나 강한 하락반전신호인 잉태형과 팽이형 , 교수형, 하락장악형, 흑운형등이 나오면 일단 주의를 가져야 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탑형 천장이라고 확신이 들 때에는 어느 정도 주가가 하락의 상태가 되어야 알 수 있기 때문에 주가의 진행이 고점이며 장대양봉뒤에 팽이형의 캔들이 나오고 거래량이 많아지면서 횡보를 하고 있다면 주가의 분산상태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럴 때는 어김없이 매도를 진행해야 한다.

이것은 탑형 바닥과 마찬가지로 만두형과 비교하자면 갭하락이 있고 없고의 차이다. 만두형은 갭하락 있어야만 패턴의 완성이 되지만 탑형바닥은 장대음봉만으로도 패턴이 완성된다. 둘이 주가의 하락약세를 비교하자면 만두형은 갭하락을 동반하기 때문에 더 강한 하락반전신호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탑형 천장은 저항선을 만든다. 탑형 바닥이 지지영역을 만드는 것처럼 탑형 천장도 강한 저항영역을 만들어 다음의 주가가 오를 때에 주가의 저항영역에 부딪힐 지점을 주의해서 살펴봐야 한다.

 

탑형 천장패턴

 

고점에서 만들어지며 장대양봉 후 팽이형 캔들과 연달아 교수형이 출현함으로써 주가의 상승세의 여력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긴 장대양봉과 장대음봉사이의 캔들이 많다

 

긴 장대양봉과 장대음봉사이의 캔들이 많지만 긴 위그림자의 캔들이 많고 점점 고점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또한 장대음봉이 출현하기 전 잉태형이 생성됨으로써 추세의 상승이 꺾이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탑형 천장

 

주가는 점점 상승추세를 이어 가다가 위그림자긴 장대양봉이 출현하면서 매수세의 시장장악력이 떨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팽이형의 캔들이 연달아 출현하고 하락집게형과 시가와 종가가 낮은 음봉이 출현하였다. 또한 다음 날은 위그림자가 긴 양봉이 출현하였지만  고점이 위의 저항영역에 걸려 주가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다음 날은 고전적인 유성형이 출현하여 저항영역임을 다시 재 확인 해주고 있고  며칠 후 다시 장대음봉이 출현하여 주가의 하락세가 진행되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