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림목 매수조건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이동평균선

눌림목 매수조건

by 기본을 지키자 2024. 12. 4.
728x90

눌림목은 가격의 추세가 계속적으로 우상향 상태를 유지하다가 어느 순간 가격의 조정을 받는 구간을 말하며 다시 매수세가 들어와 반등하여 가격이 추세가 상승추세로 바뀌어 계속적으로 우상향 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구간에서 매수포인트를 잡아 수익을 올리는 것이다.

가격의 추세가 우상향 했다는 것은 이동평균선으로 보면 단기, 중기, 장기선이 우상향 상태를 말하며 시장심리로 보면 강한 매수세가 계속적으로 유지되고 있고  거래량 또한 시장참여자가 많아서 점점 증가추세에 있다. 

가격이 상승을 유지하다가 점점 횡보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시장심리로 보면 너무 과매수가 되었다고 판단해  매수자의 일부는 차익실현을 하는 사람들도 있고 또 늦게 라도 추세에 합류하기 위해 매수를 하는 사람들도 있어 그들의 줄다리기로 주가는 횡보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눌림목에서는 거래량이 줄어들고 과매수가 진정되어 낮아지는 효과를 본다.

첫 번째 조건은 이런 눌림목에서의 매수조건은 반드시 다시 주가는 상승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기선이 횡보를 하고 있으나 때때로 중기선이나 장기선으로 밑으로 내려가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때 중기선은 평행상태이고 장기선은 우상향 상태이어야 한다.
만일 단기선이 중기선을 넘어 장기선 밑으로 내려간 경우에 장기선도 하향 상태라면 주의해야 한다.

두 번째 조건은 단기 중기 장기 모두가 우상향 상태인데 가격의 종가가 중기선을 넘어서거나 장기선을 살짝 넘어서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일시적으로 급락하였다가 다시 되돌아가 단기 중기 장기가 간격을 벌려 상승을  시작한다면 눌림목의 매수기회를 잡는 것이다.

하지만 이때는 다음 날의 캔들을 보면서  대응해야 한다. 만일 위 그림자가 긴 캔들이 연속적으로 나오면서 저항영역을 만들고 캔들의 종가가 중기선을 넘어가고 단기선이 장기선을 위에서 아래로 교차한다면 상황은 달라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세 번째 조건은 단기, 중기, 장기선의 우상향이 진행되고 있으며 선들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며 가격이 횡보하면서 상향추세 중인 5일선 위에 가격의 종가가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면 좋은 눌림목의 매수 포인트가 될 수가 있다. 단 조건은 반드시 단기 중기 장기는 우상향 상태이며 가격은 수평에 가까운 횡보상태여야 한다.

세 번째 조건에 부합하는 차트

장대양봉 출현 뒤에 가격은 횡보세를 유지하다가 주가는 다시 상승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몸통이 5일선에 가까워지면서 상승하는 경우와  단기선이 중기선에 가까워면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세 번째 조건처럼 단기 중기 장기선은 우상향 상태이다.

첫 번째 조건에 부합하는 차트

단기, 중기, 장기선이 우상향 상태에서 가격의 조정으로 와 눌림목을 보여주고 있다.
단기선이 점차 중기선과 가까이 겹쳐지면서 간격은 좁아졌고 이내 다시 간격이 넓어지면서 단기, 중기, 장기선이 우상향 하면서 추세가 오르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첫 번째 조건에 부합하는 차트

단기 중기 장기선들이 우상향 상태에서 선의 간격은 점점 좁아져 눌림목을 보여주고 있다. 단기선이 중기선 밑으로 내려갔지만 장기선은 우상향 상태이므로 주가는 눌림목 상태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200일선 위에서 이런 눌림목이 나온다면 상승은 꽤 오랫동안 길게 간다.

두 번째 조건에 부합하는 차트

장대양봉 후 단기, 중기, 장기선이 우상향 상태이지만 일시적으로 가격이 급락해 종가가 중기선까지 가까이 왔지만 중기선과 장기선이 우상향 상태이므로 눌림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 이후로 단기, 중기, 장기선의 간격이 넓어져 우상향 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첫 번째 조건에 부합하는 차트

 

단기, 중기, 장기선이 우상향 상태에서  단기선이 점차 중기선과 가까워져 눌림목을 형성하였고  가격의 종가가 일시적으로 중기선을 넘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중기선과 장기선이 우상향 상태이므로 눌림목을 형성하면서 다시 주가는 우상향 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