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선18 삼천형 바닥(역 머리 어깨형) 주가가 세 차례 바닥을 칠 때 이 패턴이 생긴다.아래선은 지지선역할과 위선은 저항선역할을 한다.삼천형의 바닥의 패턴도 바닥의 저점에서 생기며 매수시점은 두 번째 세 번째 바닥임을 재확인시켜주고 지지선임을 재확인해줄 때가 매수시점이다. 때때로 세 번 이상 바닥임을 확인시켜 주었지만 지지선을 뚫고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위의 차트를 보면 삼천형 바닥 패턴을 만든 후 주가는 지지선 아래로 내려간 것을 알 수가 있다.주가는 지지선아래로 내려가므로 지지선이 저항선역할을 하게 되었다. 장대양봉이 긴 위그림자가 지지선이 저항선이 됨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그러면 더욱이 긴 플랫폼을 형성하거나 박스권을 형성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하지만 이렇게 긴 시간 동안 플랫폼을 형성한다면 상향이탈 시 크게 상승하는 .. 2024. 10. 13. 9월5일 (블루엠텍) 이동평균선으로 보니 추세가 전환되었고 현재 우상향 중에 조정 중인 것을 알 수가 있다. 9월5일 현재가 20500거래량도 주가 상승 시에는 그전보다 거래량이 상승하고 있으며 조정 시에도 조금씩 거래량이 줄어든 것을 알 수가 있다. 9월 9일 이동평균선으로 볼 때 추세전환을 시작했으며 단기 중기 장기가 우상향 상태로 조정상태란 것을 알 수가 있었다. 특징은 장대양봉 시 거래량이 평균보다 훨씬 크기가 크고 조정 시 거래량이 감소하였고 조정이지만 저점이 점점 올라간 상태임을 알 수가 있다. 예상대로 조정이 끝날 무렵 주가는 다시 상승하고 있다. 또한 앞에 장대양봉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가로선의 지지영역에서 지지를 받고 있으며 동시에 장대양봉의 지지를 받고 있는 상태를 알 수가 있다.또한 .. 2024. 10. 3. 지지선에 따른 저항영역 전날 캔들의 몸통을 완전히 감싸고 몸통의 길이가 긴 음봉의 캔들이 하락세를 말해 주고 있다.더욱 위 추세선에 닿았을 때 그런 하락반전신호들이 나타나면 하락세가 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2024. 9. 14. 상승 전 ,급등 전, 차트를 통한 상승 전 신호 분석 상승 전 신호하락추세가 끝나고 단기가 제일 위에 있고 그 다음 중기 밑에 장기가 있어 우상향 상태이거나 또는 단기가 중기위에 있고 장기는 평형상태에서 살짝 점차 올라가는 상태이다.상승 전 (평균14일이내)반드시 장대양봉(그 전에는 긴 양봉이 없었다.간혹 위 꼬리가 긴 장대양봉 이다)이 있어야 한다. 장대양봉은 반드시 5일선 위로 몸통이 안착해 있다.장대양봉이 나타났을 때는 반드시 평균거래량보다 5배이상이다.장대양봉의 종가근처에 짧은몸통 있거나 긴 몸통이 있어도 반드시 장대양봉의 지지를 받는다. 몸통의 고점근처 , 몸통의 중간근처 또는 아래부분까지 이며 장대양봉 아래로 내려간다면 매수하지 말아야 한다.거래량이 평균보다 많은 장대양봉의 지지를 반드시 받으며 과매수가 된 상황이면 조정을 받지만 주가는 크게.. 2024. 9. 1.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