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신호' 태그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전신호7

관통형 관통형 캔들 관통형 캔들은 흑운형의 캔들의 반대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첫 번째 캔들은 음봉이고 두 번째 캔들은 양봉이다. 시가가 전날 캔들의 저점보다 낮아야 한다.관통형은 하락세에서 반전신호로 볼 수가 있다. 흑운형의 경우는 상승의 고점에서 하락 반전신호이지만  관통형의 경우는 하락장에서의 상승 반전신호이다.이 관통형의 저점은  지지선을 형성하며 특히 많은 거래량을 동반한다면 강력한 지지선이 된다.형태를 보면 캔들의 시가가 저점에서 시작하여 종가가 첫 번째 캔들이 몸통의 중간 위로 끝난 것을 알 수가 있다. 시작은 주가가 저점에서 시작하였지만 마감시간이 다 되어서 종가가 고점까지 올린 것이다. 즉 매수세가 매도세를 이긴 것이라 할 수 있다.양봉의 종가가 음봉의 몸통을 더욱 깊숙이 들어갈 수록 많이 .. 2024. 9. 19.
지지영역과 망치형과 상승장악형의 조합 위의 차트를 보면 지지영역에서 망치형과 상승장악형으로 인해 주가가 상승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캔들을 해석할 때 캔들 하나만 가지고 반전신호로 생각되어 급히 매수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캔들신호는 반전신호를 미리 예측해줄 뿐이지 반드시 반전된다는 보장은 없다. 하지만 확률적으로는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위의 차트처럼 장대양봉의 저점 지지영역 천정에 망치형이 발생되어서 반전신호를 암시하였고  다음날 망치형을 완전히 감싼 상승 장악형이 나와 주가의 상승의 확률을 더 높여주었다 또한 계속적으로 시가와 고가가 올라가는 것으로 보여 추후 계속적인 상승가능성을 알려 주었다. 2024. 9. 13.
장악형 장악형은 상승장악형과 하락장악형으로 볼 수 있다. 이름의 의미를 보면 상대방의 매도세력 또는 매수세력을  완전 장악한 반전신호이다.주의할 것은 완전한 상승세 또는 하락세가 명확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항선과 지지선을 이용하면 더욱 명확하게 알 수가 있고 이동평균선까지 더해 해석하면  더욱 반전신호로써 의미를 명확히 할 수가 있다. 전 고점이 저항선 역활을 할 때  ,전 저점의 지지선 역활을 할 때  장악형이 나타난다면 더욱 주가는  반전할 가능성이 크다먼저 몸통을 살펴보면 두 캔의 캔들로써 음봉 다음에 양봉,양봉 다음에 음봉 이렇게 두 개의 캔들이 다르게 나란히 나와야 하며 하락세에서는음봉의 몸통을 양봉의 몸통이 완전히 감싸고 상승세에서는 양봉의 몸통을 음봉이 완전히 감싼 것을 알 수가 있다. 시가와 종가.. 2024. 9. 8.
728x9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