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운형을 나타내고 있다.
구성은 상승 중에 있는 양봉의 캔들과 다음날 음봉의 캔들이다. 음봉의 캔들은 윗꼬리가 짧을수록 세기가 강하다.
두 개의 캔들로 이뤄져 있으며 위치는 상승의 고점 또는 밀집구간의 위 추세선에 걸쳐 나올 수 도 있다.
의미를 보면 1번의 양봉으로 생긴 강한 매수세가 두 번째날 2번의 음봉으로 인해 생긴 매도세가 매수세보다 강한 경우이다.
더 보자면 시가는 첫 날의 종가 또는 고가보다 높았지만 종가는 1번의 캔들의 몸통의 반절 아래까지 내려간 경우이다. 1번의 몸통의 크기를 기준으로 봤을 때 2번의 종가가 1번의 양봉 몸통의 반절보다 더 아래로 내려갈수록 하락세가 짙어진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흑운형보다는 하락장악형이 종가가 더 아래로 내려가므로 하락세가 더 크다고 볼 수가 있다.
꽤 많은 기간동안 상승세 중에 두 번째 시가가 전날 종가보다 너무 높고 거래량이 많을 때는 조심해야 한다. 여태껏 주가가 많이 올라 수익확정 지으려고 매도하기 때문에 상승 중에 두 번째 시가가 높고 급한 거래량이 생겼다면 반드시 유의해야 한다.
흑운형도 하락장악형처럼 위꼬리가 저항선임을 나타내고 있다. 만일 다른 캔들의 종가가 저항선을 넘지 못하고 저항영역임을 재확인 해준다면 하락할 가능성이 크므로 조심해야 한다.
또한 흑운형과 하락장악형의 경우도 종가가 저항선을 넘어섰다 하여도 섣불리 매수에 임하지 말고 다음날 또는 며칠 후 주가의 종가의 위치를 재 확인 하는 것이 안전하다. 저항선을 넘어섰어도 그전에 전고점이 있다면 다시 하락할 수도 있고 그리고 추세 자체가 하락세라면 매수를 다시 재고해야 한다. 캔들의 개별 해석보다는 먼저 주가의 추세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큰 반전신호가 나타났다 하더라도 추세가 하락세라면 매수는 하지 말아야 한다.
흑운형은 상승중 고점이나 밀집구역, 플랫폼의 위 추세선 위로 나타날 수가 있으며 흑운형의 고점은 저항선 역할을 한다.
위의 설명처럼 양봉뒤 음봉의 종가가 양봉몸통 반절 아래로 내려가면 흑운형이 완성이 된다. 종가가 몸통의 반절 아래로 더 내려갈수록 하락세는 더 커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상승 고점에 흑운형이 형성될 때 시가가 전날의 캔들보다 많은 차이로 높고 많고 급한 거래량을 동반한다면 주의해야 한다.
종가에와서 흑운형을 형성하면서 주가가 계속적으로 빠질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차트를 보면 시가가 전날 캔들의 고가보다 꽤 많이 높고 상승의 고점이라고 볼 수가 있으며 장중에 높은 고점까지 올라갔지만 종가는 전날 캔들의 몸통반절 이하로 내려간 것을 볼 수가 있다. 또한 많은 거래량을 동반하면서 흑운형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상승이 아닌 더욱 크게 하락할 것을 예상해 준다.
고점에서 많은 거래량이 동반하면서 종가가 전날 양봉캔들의 몸통보다 낮다면 바로 매도해라
아래 추세선을 봐서도 이튿 날에 종가가 하락이탈 한 것을 알 수가 있고 다시 되돌림 해서 상승추세로 되돌리려고 했지만 종가가 추세선에 닿지 않고 다시 하락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캔들을 볼 때는 캔들의 개별해석 보다는 추세를 먼저 보고 그런 다음 캔들의 종가의 위치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특징은
- 흑운형이 나왔어도 다음 날 캔들이 장대양봉이고 종가가 흑운형의 고가를 넘어서면 다시 상승 할 가능성 있음을 유의하자
- 두 개의 캔들중 고가를 흑운형의 저항선으로 삼는다
- 일반적인 흑운형의 모양은 아니지만 주요 저항선 근처에 흑운형이 생기면 하락세로 보면 된다.
- 반드시 종가의 위치를 확인해야 한다. 종가의 위치가 흑운형을 형성할지 말지를 결정한다.
- 흑운형의 일반적인 모양은 시가가 전날 캔들의 고가보다 높지만 종가보다 높고 흑운형의 종가가 전날 양봉캔들의 몸통반절 아래로 내려갔다면 흑운형으로 치부할 수 있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캔들과 캔들 패턴의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캔들의 해석 (0) | 2024.09.20 |
---|---|
관통형 (5) | 2024.09.19 |
하락 장악형 (0) | 2024.09.15 |
지지영역과 망치형과 상승장악형의 조합 (0) | 2024.09.13 |
장악형 (0) | 2024.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