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들의 해석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캔들과 캔들 패턴의 해석

캔들의 해석

by 기본을 지키자 2024. 9. 20.
728x90

 

1 번은 장대양봉이다.

장대양봉은 저점에서 지지역할을 해주며 하락세에서 평균보다 또는 오래간만에 나온  긴 장대양봉이면 지금이 저점구간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2번은 전날 장대양봉으로 인해 매수세가 강해진 수급상황에서 장대양봉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1번보다 몸통의 길이가 작아졌고 윗꼬리가 달려 다음 날은 매수세가 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3번은 시가가 전날 고가 보다 높게 시작하였지만 흑운형처럼 종가가 양봉의 몸통을 절반이상 내려간 것이 아니므로 매도세가 다시 약해진 것을 알 수가 있다.

 

4번은 매수세가 좀 들어 왔지만 종가가 음봉의 몸통 반절아래로 위치하기 때문에 큰 매수세가 들어왔다고 할 수가 없다

 

5번은 시작은 고가로 시작하였지만 장마감 시간 쯤에 종가가 하락하였으므로 변형적인 하락장악형으로 볼 수 있고 이로 인해 더 이상의 상승추세는  어려워진다고 볼 수가 있다.

 

6번은 예상대로 양봉의 몸통이 짧아지면서 상승추세가 꺾이면서 도지형 캔들이 나왔다. 이것은 매수세와 매도세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상승세의 고점에서 나타났으므로 다음 날 하락캔들이 나온다면 하락반전신호로 볼 수 있다.

 

7번은 윗 꼬리가 길고  시가와 종가가 전날 보다 낮은 캔들이 나타남으로써 전날의 도지형의 캔들은 하락반전신호로 확인할 수 있다.

 

8번은 몸통이 긴 음봉으로써 하락세가 가세 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9번은 변형 망치형으로써 상승세나 하락세 중간에 나오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또한 의미를 가지려면 아래 꼬리가 몸통길이의 3배 이상은 되어야 하는데 9번 캔들은 그렇지 않으므로 큰 의미 있는 캔들이 아니다.

 

10번은 50%되돌림 구간에서 나온 관통형이다. 반절이상 관통하였으므로 상승세가 예상되는 신호이다.

 

11번은 예상대로 몸통이 긴 양봉이 나왔다. 하지만 종가가 고가에 멈추지 않고 윗 꼬리가 생긴 것을 잘 관찰해야 한다. 그 위치가  6번에서 10번까지의 반등 구간이라 볼 수 있어 향후 계속적으로 상승한다고 볼 수가 없다

 

12번은 예상대로 윗 꼬리가 있는 음봉의 몸통이 나와서 하락세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

 

13번은 그 전에 하락갭이 생겨 하락세가 계속되는 가운데에 반등구간에 망치형이 나왔지만 갭은 3일 전에 메우지 못하면 하락세는 계속 하락하게 되고 3일 안에 갭을 메우면 반전하게 된다. 갭하락이 나온 후  3일 후에 반등구간에 망치형이 나왔지만 갭하락이 망치형보다 강한 하락신호를 보내고 있다. 같은 캔들이라도 갭하락 또는 갭상승은 강한 하락과 강한 상승을 말해 주고 있으니  갭 하락 뒤에 3일이 지난 후 상승반전 신호가 나오더라도 주의해야 한다.

 

14번은 음봉의 캔들이 아래 꼬리가 생성되면서 1번에서 생긴 지지영역을 확인 시켜 주고 있으며 다음 날 음봉의 몸통의 반절을 넘어선 관통형이 나옴으로써 반전신호로 볼 수가 있다

캔들의 신호는 어느 지점에서 나타나고 몸통의 길이에 큰 의미가 있다. 그리고 지지영역에서 나오느냐 저항선 영역에서 나오느냐에 따라 의미가 커지므로 반전 신호 시 전저점의 지지영역과 전 고점의 저항영역을 잘 살펴봐야 한다.

 

15번은 예상대로 시가와 종가가 전날 캔들보다 높은  캔들이 형성되었고 14번 캔들 앞에 생긴 하락갭이 살짝 3일 안에 매워진 것을 볼 수가 있어 상승세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16번은 예상대로 오랜만에 종가가 고점인 장대양봉이 형성되어 강한 매수세가 예상되었다. 하지만 종가가 12번의 잠재적인 저항선을 넘기지 못해 계속적인 상승세는 지켜봐야 한다.

 

17번에서 윗 꼬리가 길고 짧은 몸통의 팽이형이 나타남으로써 상승세가 다시 꺾인 것을 알 수가 있다.

 

18번 고점에서 생긴 팽이형과 유성형이 연달아 나타남으로써  확실한 상승세가 꺽인 것을 알 수가 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