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으로 인한 추세진단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지지 및 저항

갭으로 인한 추세진단

by 기본을 지키자 2024. 10. 23.
728x90

상승갭은 전날 고가와 현재캔들의 저가와의 공간을 상승갭이라고 말한다. 즉 그림자도 겹치지 않는 캔들사이의 공간을 말한다.

이 공간의 크기와 상관없이 갭의 영향은 크다. 오히려 갭의 공간이 조금 작을지라도 지지를 받는다면 반전한다.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창이 생기는지를 잘 살펴봐야 한다.

만일 밀집구역 또는 박스권에서 갭상승이 생겨 상향이탈 하였다면 갭상승으로 인한 지지영역이 생성된 것이다. 이런 경우는 주가가 다시 조정을 받아도 처음 상향이탈시점인 박스권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그만큼 박스권에서의 갭 상승으로 인한 상향이탈은 큰 지지영역을 만들어준다.

갭하락에서도 마찬가지로 밀집구역이나 박스권에서 갭 하락하여 하향이탈 시 갭하락으로 인한 저항영역이 생긴다. 

다시 반등을 시도하여도 주가는 그 저항영역을 넘어서기가 쉽지가 않다. 같은 지지영역과 저항영역이라도 어느 시점에서 생긴 창인지를 잘 살펴보면 강한 지지와 저항영역인지 아니면 약한 지지와 저항영역인지를 구별 할 수가 있다.

하지만 만일 종가가 갭상승의 바닥을 넘어선다면 이럴 때는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갭하락에서도 종가가 천장을 넘어선다면 다시 상승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상승추세가 계속될지를 살펴볼 때에는 이동평균선으로도 파악하지만 갭상승이 나타난 후  갭상승이 메꿔지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메꿔지지 않는 갭상승이 자주 출몰하는 경우에는 추세가 계속적으로 상승하므로 계속 주가를 들고 가는게 낮고 갭상승으로 인한 갭이 언제 막힐지를 잘 살펴보면서 추세를 진단해야 한다.

하락추세도 같은 이치로 살펴볼 수 있다. 하락추세가 계속될지를 잘 관찰해야 되는데  이동평균선으로 인해 판단해 볼 수도 있지만 하락창이 생기고 갭이 언제 메꿔지는지를 잘 살펴봐야 한다. 하락갭이 생성되면서 쉽게 갭이 채워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하락한다면 계속적으로 하락추세로 가는 경우가 많다.

정리하자면 마지막 창이 닫히기 전까지 추세는 계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동시에 이동평균선으로도  비교하고 판단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상승창 형성

 

상승창 형성후 갭이 닫히기 전까지는 추세가 계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하락갭

 

하락갭으로 인한 저항영역생성

갭이 메꿔지기 전까지는 계속적으로 하락을 하다가 종가가 갭하락의 천장을 넘어서 추세가 바뀌었음을 볼 수가 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