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16 역 머리 어깨형 역 머리 어깨형은 헤드 앤 숄더와 와는 상반되는 신호이다.헤드 앤 숄더는 고점에서 하락의 시점을 알려주는 차트패턴 신호이지만 역 머리 어깨형은 하락에서 나타나는 상승반전신호이다.거래량을 보면 머리 부분이 가장 많고 머리 부분과 양쪽어깨의 거리가 대부분 거의 같다. 꼭 그렇지 많은 않지만 거의 거리가 같은 상태에서종가가 목선을 넘어서면 매수신호로 봐야 한다.넓게 보면 왼쪽 어깨 고점,패턴형성시 만들어진 고점과 플랫폼 형성 후 만들어진 역 머리 어깨형의 경우 플랫폼의 저항선을 넘어서면 또한 매수시점이 된다. 실제 차트에서는 다향한 형태로 역 머리 어깨형이 존재하며 밀집구역 후 생성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보수적인 관점에서의 매수시점은 왼쪽 어깨형의 고점보다는 패턴형성시 처음 생긴 고점을 넘어설 때가 매수시점.. 2024. 9. 13. (바이오노트)관심종목 저항선 이탈 시점 차트를 보니 이동평균선 50일선에 양봉캔들로 인해 지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가 있다.내가 연구한 규칙을 적용해 보면 장대양봉뒤 거래량이 거의 말라가면서 장대양봉에서 지지라인 생겼다. 거래량이 거의 없는 것은 매도 물량이 없다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여기에서 저항선을 돌파한다면 강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차트패턴으로 봐도 장대양봉뒤 지지영역이 생성되고 있고 양봉의 캔들로 인한 밀집구역이 생성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가 있다. 거래량도의 거의 말라가고 있어 매집단계로 해석해 볼 수가 있다. 만일 주가가 저항선을 넘어간다면 매수기회로 삼아야 한다. 2024. 9. 13. 추세 확인 방법 주가의 추세는 주봉으로 확인하는 것이 더 신뢰가 있고 매수시점은 일봉으로 보고 판단하는 것이 더 신뢰가 있다.또한 기업들은 분기와 반기, 년마다 실적발표를 하기 때문에 주가의 전체적인 추세의 흐름을 먼저 살펴보고 최근 1년 동안의 저점과 고점의 위치와 추세를 살펴보는 게 더 효율적이다. 장기선으로 봤을 때 추세가 바뀌면 계속된 상승추세로 이어갈 가능성이 높고 단기적으로 봤을 때 잠깐 상승한 것은 테마적인 성격이 짙은 것을 알아야 한다.장기적으로 하락하고 있는데 잠깐 급등으로 올라오는 종목은 절대 보지도 사지도 말아야 한다. 매물처리 하기위한 것이다. 추세를 볼 때는 장기적으로 추세전환시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일봉은 추세반등 시점의 시작을 민감하게 알 수가 있고 추세의 지속성을 관찰하려면 주봉으로 관찰.. 2024. 9. 10. W 자형 W자형은 이중바닥형이라고도 한다. 사실 이중 바닥형이라고 생각하고 매수를 기다렸다가 삼중 바닥형이 되기도 하는데 상승하게 되면 이중바닥 보다는 삼중바닥형이 더 많이 상승한다. 시장 심리적으로 매수세와 매도세가 줄다리기 하다가 매수세가 이긴 것이다.이론적으로는 W자 모양이지만 실제차트에서는 저렇게 완벽하게 W자형태는 드물다. 1번이 조금 낮거나 2번이 높거나 아니면 1번이 높거나 2번이 낮거나 그리고 아래가 둥근 모양일 때도 많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어떤 모양이든 간에 차트형태가 만들어지면 반드시 전고점을 넘어서야만 매수시점이 되는 것이다.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사람은 아래쪽 추세선을 그어 2번에서 반등할 때 매수하는 사람들도 많다.1번에서 생긴 상승반전신호 때문에 2번의 주가는 지지영역임을 재 확인 시.. 2024. 9. 10. 이전 1 ··· 87 88 89 90 91 92 93 ··· 10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