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사고 팔 것인가?' 카테고리의 글 목록 (71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325

하락장악형으로 인한 저항선 생성 첫 신호는 하이웨이브 캔들이 나타남으로 주가의 고점 근처 인것을  알려주었다. 특히나 하이웨이브 캔들은 다음날 캔들이 몸통에 중앙에 올때 그리고 몸통이 작을 때 그 역활은 더욱 크다더욱 고점에서 나타난 신호이므로 첫 매도를 알리는 신호이다. 다음 날은 도지형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날에도 도지형보다 시가와 종가가 낮은 십자형 도지형이 나타나므로 하락세을 예상하는 신호가 더욱 짙어졌다. 또 다음 날 윗 꼬리가 긴 음봉이 나타나고 시가와 종가가 더 낮은 음봉이 연속적으로 나옴으로써 하락세가 될 거라는 확신을 주었다.이러한 신호들은 이곳이 저항영역임을 알려준다. 2024. 9. 14.
지지영역과 망치형과 상승장악형의 조합 위의 차트를 보면 지지영역에서 망치형과 상승장악형으로 인해 주가가 상승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캔들을 해석할 때 캔들 하나만 가지고 반전신호로 생각되어 급히 매수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캔들신호는 반전신호를 미리 예측해줄 뿐이지 반드시 반전된다는 보장은 없다. 하지만 확률적으로는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위의 차트처럼 장대양봉의 저점 지지영역 천정에 망치형이 발생되어서 반전신호를 암시하였고  다음날 망치형을 완전히 감싼 상승 장악형이 나와 주가의 상승의 확률을 더 높여주었다 또한 계속적으로 시가와 고가가 올라가는 것으로 보여 추후 계속적인 상승가능성을 알려 주었다. 2024. 9. 13.
역 머리 어깨형 역 머리 어깨형은 헤드 앤 숄더와 와는 상반되는 신호이다.헤드 앤 숄더는 고점에서 하락의 시점을 알려주는 차트패턴 신호이지만 역 머리 어깨형은 하락에서 나타나는 상승반전신호이다.거래량을 보면 머리 부분이 가장 많고 머리 부분과 양쪽어깨의 거리가 대부분 거의 같다. 꼭 그렇지 많은 않지만 거의 거리가 같은 상태에서종가가 목선을 넘어서면 매수신호로 봐야 한다.넓게 보면 왼쪽 어깨 고점,패턴형성시 만들어진 고점과  플랫폼 형성 후 만들어진 역 머리 어깨형의 경우 플랫폼의 저항선을 넘어서면 또한 매수시점이 된다. 실제 차트에서는 다향한 형태로 역 머리 어깨형이 존재하며 밀집구역 후 생성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보수적인 관점에서의 매수시점은 왼쪽 어깨형의 고점보다는 패턴형성시 처음 생긴 고점을 넘어설 때가 매수시점.. 2024. 9. 13.
추세 확인 방법 주가의 추세는 주봉으로 확인하는 것이 더 신뢰가 있고 매수시점은 일봉으로 보고 판단하는 것이 더 신뢰가 있다.또한 기업들은 분기와 반기, 년마다 실적발표를 하기 때문에 주가의 전체적인 추세의 흐름을 먼저 살펴보고 최근 1년 동안의 저점과 고점의 위치와 추세를 살펴보는 게 더 효율적이다. 장기선으로 봤을 때 추세가 바뀌면 계속된 상승추세로 이어갈 가능성이 높고 단기적으로 봤을 때 잠깐 상승한 것은 테마적인 성격이 짙은 것을 알아야 한다.장기적으로 하락하고 있는데 잠깐 급등으로 올라오는 종목은 절대 보지도 사지도 말아야 한다. 매물처리 하기위한 것이다. 추세를 볼 때는 장기적으로 추세전환시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일봉은 추세반등 시점의 시작을 민감하게 알 수가 있고 추세의 지속성을 관찰하려면 주봉으로 관찰.. 2024. 9. 10.
728x9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