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사고 팔 것인가?/차트패턴'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차트패턴49

삼천형 바닥(역 머리 어깨형) 주가가 세 차례 바닥을 칠 때 이 패턴이 생긴다.아래선은 지지선역할과 위선은 저항선역할을 한다.삼천형의 바닥의 패턴도 바닥의 저점에서 생기며 매수시점은 두 번째  세 번째 바닥임을 재확인시켜주고 지지선임을 재확인해줄 때가 매수시점이다. 때때로 세 번 이상  바닥임을 확인시켜 주었지만 지지선을 뚫고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위의 차트를 보면 삼천형 바닥 패턴을 만든 후 주가는  지지선 아래로 내려간 것을 알 수가 있다.주가는 지지선아래로 내려가므로  지지선이 저항선역할을 하게 되었다. 장대양봉이 긴 위그림자가 지지선이 저항선이 됨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그러면 더욱이 긴 플랫폼을 형성하거나 박스권을 형성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하지만 이렇게 긴 시간 동안 플랫폼을 형성한다면 상향이탈 시 크게 상승하는 .. 2024. 10. 13.
패넌트 형 패넌트형 패턴 완벽 분석: 상승 지속 신호 포착 및 수익 극대화 전략 핵심 키워드: 패넌트형 패턴, 차트 패턴, 기술적 분석, 주식 매매, 상승 지속, 매수 시점, 거래량 분석, 횡보 기간메타 설명: 패넌트형 패턴 분석을 통해 상승 지속 신호를 정확하게 포착하고, 성공적인 매매 타이밍과 전략을 소개합니다. 거래량 분석, 횡보 기간 분석 등 핵심 기법을 자세히 알아보세요.본문:패넌트형 패턴은 주식, 암호화폐 등 다양한 금융 시장에서 거의 수직으로 상승한 주가 추세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상승 지속 신호입니다. 위 추세선과 아래 추세선이 점점 좁아지며 형성되는 형태를 띠며,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의 기싸움 후 매수세가 승리하여 재상승하는 특징을 보입니다.1. 패넌트형 패턴의 핵심 분석패턴 정의: 거의 수직 상승 .. 2024. 9. 20.
하락 쐐기형 하락 쐐기형차트 패턴은 하락 쐐기형이다. 하락 쐐기형은 추세선을 그어보면 위 아래 추세선이 점점 좁아지면서 만나게 되어 있다. 매수시점은 주가가 위의 추세선을  상향이탈 할 때가 매수시점인데 중요한 것은 상향이탈 시점이 되었어도 이탈 시점의 종가의 캔들이 매수세가 매도세보다 약한 캔들이 나타나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장중에는 주가가 고점을 기록하였지만 장 마감시간에 맞춰 종가가 하락하여 윗 꼬리가 긴 캔들이 형성되어 하락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음 날 캔들을 지켜보고 매매 결정을 해야 한다. 하지만 종가가 고점까지 상승하여 몸통의 긴 장대양봉이나 처음에는 시가가 낮게 시작하였지만 종가는 고점가까이 올라간 형태인 아래꼬리가 긴 캔들은 매수세가 매도세보다 강하다는 의미이므로 확률적으로는 주가의.. 2024. 9. 19.
역 머리 어깨형 역 머리 어깨형은 헤드 앤 숄더와 와는 상반되는 신호이다.헤드 앤 숄더는 고점에서 하락의 시점을 알려주는 차트패턴 신호이지만 역 머리 어깨형은 하락에서 나타나는 상승반전신호이다.거래량을 보면 머리 부분이 가장 많고 머리 부분과 양쪽어깨의 거리가 대부분 거의 같다. 꼭 그렇지 많은 않지만 거의 거리가 같은 상태에서종가가 목선을 넘어서면 매수신호로 봐야 한다.넓게 보면 왼쪽 어깨 고점,패턴형성시 만들어진 고점과  플랫폼 형성 후 만들어진 역 머리 어깨형의 경우 플랫폼의 저항선을 넘어서면 또한 매수시점이 된다. 실제 차트에서는 다향한 형태로 역 머리 어깨형이 존재하며 밀집구역 후 생성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보수적인 관점에서의 매수시점은 왼쪽 어깨형의 고점보다는 패턴형성시 처음 생긴 고점을 넘어설 때가 매수시점.. 2024. 9. 13.
728x9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