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3 상승 중 되돌림 상승중에 50%되돌림 했을 때 재상승 할지는 밀집된 구간을 보자 50%조정뒤 형성된 밀집구간이 짧으면 다시 재상승할 확률이 높다. 조밀한 밀집구간일 수록 가능성이 높다. 심리적으로 눈치보다 첫 상승 때 매수하지 못한 사람들이 매수할려고 모여드는 것이다.이때 거래량구간을 잘 살펴봐야 하며 밀집구역의 위 추세선을 상향탈출하면 매수시점으로 생각해야 한다. 주의할 것은 반드시 짧은 박스권 형성시 주가가 전고점보다 높아 상향 추세 이탈 하는 것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하지만 조정이 길어진다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그 만큼 매수하자고 하는 사람들의 매수심리가 많이 떨어지고 이슈도 잠잠하여 수익권에 있는 사람들의 매도 심리가 커져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거래량도 하락할 때 커지는 것을 볼 수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2024. 9. 7. Flat base 상승 후 꽤 조정기간이 길다. 하지만 특징을 보면 조정기간에도 반드시 주가는 중기선위에 있어야 하며 장기적으로 중기선과 장기선이 우상향 상태이어야 한다.상승 후 조정상태에서는 주가 거래량이 거의 없는게 특징이다. 2024. 8. 31. 우상향 후 첫 번째 조정 (크로스체크) 이동평균선으로 봤을 때 5일선이 130일선또는 260일선에 두 번째 지지되고 상승했을 때 좋은 매수 포인트다. 또한 우상향 후 50%되돌림에서 망치형이 나타난것을 눈여겨 봐야한다. 잠깐 반등도 50% 되돌림에서 멈춘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5일선이 20일선을 뚫고 다시 20일선에 가까이 다가가 상승했을 때 장대양봉이 나타났다. 이 장대양봉은 앞의 고점(저항)을 넘어섰고 그 이후로 주가는 5일선 위로 계속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주가는 5일선 위로 올라가 상승하면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플랫폼의 고점을 지나 장대양봉의 지지를 받는 시점이 매수 포인트인 것을 알 수 가 있다. 긴 시간동안 박스권에 있다가 플랫폼의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면 큰 상승이 일어난다. 또한 깃발형의 패턴이 형성된 후.. 2024. 8. 29.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