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 자형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차트패턴

W 자형

by 기본을 지키자 2024. 9. 10.
728x90

W자형은 이중바닥형이라고도 한다. 사실 이중 바닥형이라고 생각하고 매수를 기다렸다가 삼중 바닥형이 되기도 하는데 상승하게 되면 이중바닥 보다는 삼중바닥형이 더 많이 상승한다. 시장 심리적으로 매수세와 매도세가 줄다리기 하다가 매수세가 이긴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W자 모양이지만 실제차트에서는 저렇게 완벽하게 W자형태는 드물다. 1번이 조금 낮거나 2번이 높거나 아니면 1번이 높거나 2번이 낮거나 그리고 아래가 둥근 모양일 때도 많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어떤 모양이든 간에 차트형태가 만들어지면 반드시 전고점을 넘어서야만 매수시점이 되는 것이다.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사람은 아래쪽 추세선을 그어 2번에서 반등할 때 매수하는 사람들도 많다.1번에서 생긴 상승반전신호 때문에 2번의 주가는  지지영역임을 재 확인 시켜 주므로 1번 보다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하지만  보수적으로 봤을 때 보다 안정적으로 매수시기를 본다면 차트패턴이 만들어지고 전고점을 넘어설 때가 안정적이다. 또한 거래량도 증가 상태이어야 한다. 전고점을 넘어서면 그 지점은 다시 지지선이 되어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내려갈 가능성보다 크다.

W자형 차트패턴

밀집형이 만들어진 다음에 W자형이 만들어진 것을 볼 수가 있다. 밀집영역의 지지영역에 깨져 저항선이 되고 W차트 패턴이 만들어진후 저항선을 주가가 넘어서면 저항선은 지지선이 된것을 알 수가 있다. W자형의 전고점을 넘어 섰을 때 주가가 급등한 것을 볼 수가 있고 밀집영역의 저항선을 넘어 저항선이 지지선이 된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떤 모양이든 주가가 전고점을 넘어설 때가 매수시점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