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사고 팔 것인가?/차트패턴
M자형 패턴 완전 분석 리포트 | Double Top Technical Chart Pattern
by 기본을 지키자
2025. 4. 1.
M자형 패턴 완전 분석 리포트 | Double Top Technical Chart Pattern
M자형 패턴 완전 분석 리포트
1. M자형(Double Top) 패턴 정의
M자형 패턴은 두 개의 고점을 형성한 뒤, 목선(neckline)을 하향 이탈하면 추세 전환(상승 → 하락)을 예고하는 전형적인 고점 반전 패턴입니다.
- 두 고점 사이의 저점(목선)을 기준으로 하락 여부 판단
- 두 번째 고점이 거래량 감소 상태에서 형성되면 신뢰도 ↑
- 목선 이탈 시 하락 가속화
2. CASE 1: 전통적 기술 분석
1) 거래량
- 첫 번째 고점: 거래량 증가
- 두 번째 고점: 거래량 감소 → 매도 경고
- 목선 이탈 시 거래량 증가 → 추세 전환 확정
2) 캔들패턴
- 두 번째 고점에서 유성형, 교수형, 음봉 잉태형 등이 함께 출현하면 하락 신호 강화
3) 이동평균선
- 두 번째 고점에서 이평선 이격도 과열 상태 → 반락 가능성
- 목선 아래로 5일, 20일, 60일선 하향 이탈 → 하락 가속
4) 추세 구조
- 엘리어트 파동상 상승 5파 끝 + B파 상승 실패 구조
- 스페란데오 기준: 고점 횡보 후 붕괴의 전형적인 분배 패턴
5) 지지/저항선
- 목선이 지지선 역할 → 이탈 시 지지 → 저항으로 전환
조건 |
해석 |
유리한 투자자 |
2번째 고점 + 거래량 감소 |
상승 피로 |
매도자 |
목선 하향 돌파 + 거래량 증가 |
하락 추세 전환 확정 |
매도자 |
이평선 이탈 동반 |
기술적 하락 신호 |
매도자 |
3. CASE 2: 보조지표 분석
1) 볼린저 밴드
- 2번째 고점이 상단 밴드 돌파 실패 → 반전 경고
- 밴드 수축 + 목선 이탈 시 → 추세 전환 가속
2) 일목균형표
- 2번째 고점이 구름대 상단에서 저항 → 상승 실패
- 목선 아래 구름 진입 시 하락 강화
3) RSI
- 고점 간 RSI 다이버전스(가격은 유지, RSI 하락) → 추세 반전 신호
4) MACD
- 2번째 고점 이후 MACD 데드크로스 발생 → 하락 추세 시작
보조지표 |
조건 |
해석 |
유리한 측 |
볼린저 밴드 |
상단 저항 + 하향 전환 |
고점 형성 |
매도자 |
RSI |
다이버전스 발생 |
상승 피로 |
매도자 |
MACD |
데드크로스 |
모멘텀 하락 |
매도자 |
일목균형표 |
구름대 저항 + 이탈 |
반전 신호 |
매도자 |
4. CASE 3: 종합 결론
전략적 판단
- 매도자 전략: 두 번째 고점에서 숏 진입 고려, 목선 이탈 시 확신 진입
- 매수자 전략: 보유자 이익 실현 우선, 신규 매수 금지
- 하락 목표치는 목선에서 고점까지의 높이만큼 하향 적용
조건 |
판단 |
유리한 측 |
M자형 패턴 + 목선 이탈 |
하락 추세 전환 확정 |
매도자 |
패턴 완성 전 보조지표 동조 |
선제 숏 진입 가능 |
매도자 |
패턴 미완성 + 거래량 부족 |
관망 필요 |
중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