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향이탈 시 거래량 방향에 따른 대응 전략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추세선

하향이탈 시 거래량 방향에 따른 대응 전략

by 기본을 지키자 2025. 4. 7.
728x90

하향이탈시 거래량이 감소한다.

📉 하향이탈 시 거래량 방향에 따른 대응 전략

핵심 개념: 하향이탈 시 거래량이 증가냐 감소냐에 따라 '급락' 또는 '되돌림'이 결정된다.

📌 거래량이 말해주는 하락의 진실

주가는 단순히 선을 이탈했다고 급락하지 않습니다. 거래량이 핵심입니다.

  • 거래량 증가 + 하향이탈 → 세력 매도, 신뢰도 높은 급락 시그널
  • 거래량 감소 + 하향이탈 → 단기 조정, 평균 50% 수준에서 되돌림 발생 확률 높음

📊 사례별 비교 전략

케이스 거래량 상태 의미 추천 전략
Case 1 하향이탈 + 거래량 급증 세력 이탈, 공포 매도 유발 즉시 매도 및 하락 추세 대응
Case 2 하향이탈 + 거래량 감소 매도 압력 약함, 조정성 이탈 50% 되돌림 매매 전략 유효

💡 50% 되돌림 매매 전략이란?

이는 하락 후 반등이 이탈 전 구간의 중심(피보나치 50%)까지 일어날 확률이 높다는 원칙입니다.

  • 진입 타이밍: 반등 초입에서 분할 매수
  • 목표가: 이전 구간 중심 가격
  • 손절가: 되돌림 실패 시 재이탈 지점

📈 결론: 거래량은 하락의 품질을 결정한다

거래량은 가격의 진심을 말해줍니다.
하향이탈 시 거래량이 증가하면 '위험 신호'로 즉시 매도하고,
감소하고 있다면 '기회 신호'로 되돌림 반등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