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으로 본 매수시점 세 번째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으로 본 매수시점 세 번째

by 기본을 지키자 2024. 11. 21.
728x90

이동평균선은 가격의 후행성 지표이다. 즉 가격이 먼저 움직이고 이동평균선은 나중에 움직인다. 예를 들어 단순이동평균선은  당일을 포함한 가격의 평균값을 이어 만든 선이다. 즉 5일 평균선은 5일 동안의 종가 가격을 더하고 5일로 나눈 값을 선으로 이은 것이 단순이동평균선이다.

이동평균선을  짧은 기간으로 설정할수록 선의 위치가 종가에 가까워지며 실제 주가의 움직임과 일치한다. 하지만 5일선,20일선으로 설정하면 현재의 주가는 먼저 움직이고 설정한 날짜만큼 이동평균선은 늦게 움직인다. 5일선을 예를 들면 5일이 지나야 선 하나가 만들어지고 6일이 지나면 당일포함해서 또다시 5일 평균값을 구한다. 7일이 지나면 당일포함해서 새로운 5일 평균선을 만든다. 따라서 주가가 먼저 움직이고 이동평균선은 나중에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런 원리를 가지고 생각해 보면 가격이 상승한다면 이동평균선도 같이 상승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이동평균선은 후행지표이므로  가격이 이동평균선 위에 있게 마련이다. 즉 가격이 이동평균선 위에 있을 때가 주가는 상승하고 있다고 볼 수가 있다.
가격과 이동평균선이 같은 폭으로 움직인다면 가격은 상승추세에 있다고 판단할 수가 있다. 그러면서 가격은 상승 중에 잠깐의 조정을 거쳐 횡보한다면 가격과 이동평균선의 간격은 점점 좁아질 것이다.
하지만 가격의 상승이 더 커진다면 이동평균선과의 폭이 점점 더 넓어진다. 이런 원리로 주가의 추세가 상승세인지 횡보인지 아니면 하락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가 있다.

가격과 이동평균선과 폭을 가지고 현재의 주가의 추세를 파악할 수가 있고 현재 다시 상승세로 돌아가는지 아니면 조정을 받고 있는 경우인지와 하락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폭이 일정하다는 것은  기존이 추세가 계속적으로 유지된다는 뜻이다.
주가와 상승하는 이동평균선과의 폭이 넓게 차이가 점점 나고 있다면 주가는  매수세가 더 강해져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간격이 처음보다 점점 좁아지고 있고 주가는 이동평균선과 가까워지고 있다. 이는 상승 중에 있는 주가가 현재 조정을 받는 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면서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로 향하고 있다는 것은 가격이 점점 하락하고 있다는 뜻이다.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간격이 좁아졌다고 점점 아래쪽 폭이 넓어지고 있다면 주가의 하락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폭이 거의 같은 비율로 하락하고 있다면 하락추세는 계속된다는 뜻이다.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넓어진 하락폭이 점점 좁아진다면 다시 주가는 조정에 들어간다는 뜻이 된다.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좁아졌던 폭이 점점 넓어지고 있다면 주가는 회복세에 들어간 것이다.

 

1일 이동평균선과 20일 이동평균선

1일 이동평균선과 20일 이동평균선의  폭이 넗어지다가 다시 폭이 좁아지면서 1일선이 다시 20일 이동평균선에 거의 맞닿을 때 다시 상승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맞닿을 때 캔들의 종가를 살펴보면 20일 선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좁아진 가격과 이동평균선의 폭이  다시 넗어지면서 약해져던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타고 있는 것이다.

가격과 이동평균선과의 폭을 보여준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주가는 이동평균선을 지지선으로 삼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주가는 20일선과의 폭이 점점 좁아지면서 상승동력을 잃어 가는 모습이었지만 맏닿았는 부분의 종가가 20일선 이동평균선 밑으로 내려가지 않고 다시 이동평균선과의 폭이 넗어지면서 잃어버렸던 상승동력을 회복하고 있다.
여기서도 명심할 것은 반드시 추세가 상승 중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또한 장대양봉 뒤에 고가놀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장대양봉이 출현한 뒤 반격형인 음봉이 형성되었지만 주가는 급락하지 않고 횡보세를 유지하면서 20일선 이동평균선에 가까이 왔을 때 다시 상승동력을 회복하였다. 장대양봉뒤 조정구간에서 횡보로 진행한다면 고가놀이가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