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과 추세선으로 매도 시점을 잡는 방법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과 추세선으로 매도 시점을 잡는 방법

by 기본을 지키자 2025. 4. 7.
728x90

 

이동평균선과 추세선의 관계성을 보여준다.

📉 이동평균선과 추세선으로 매도 시점을 잡는 방법

주가는 언제나 상승만 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건 하락 전환의 시그널을 얼마나 빠르게 포착하느냐입니다. 이때 이동평균선의 데드크로스상승추세선의 이탈은 가장 강력하고 실전적인 매도 신호입니다.

✅ 매도 신호 ①: 주가가 5일선 밑으로 이탈

  • 단기 이동평균선 아래로 종가 마감
  • 단기 매수세 이탈 신호 → 경계 구간

⚠ 매도 신호 ②: 데드크로스 발생

  • 5일선이 20일선 밑으로 하향 돌파
  • 20일선이 60일선 아래로 돌파하면 중기 하락 추세 전환
  • 이동평균선의 역배열 구조는 매도 우위 시장을 의미

🚨 매도 신호 ③: 상승추세선 이탈

  • 추세선은 저점과 저점을 연결한 선
  • 주가가 이 추세선을 종가 기준으로 하락 돌파 → 상승 추세 종료
  • 이탈 이후 추세선이 저항선으로 전환되면 추가 하락 가능성 ↑

📌 추세선과 이동평균선 크로스 체크 매도 전략

시그널 기술적 해석 매도 전략
5일선 하향 이탈 단기 이탈, 변곡 경고 부분 익절 고려
5일선 & 20일선 데드크로스 추세 전환 시작 중간 청산 진입
추세선 종가 이탈 상승추세 종결 확인 주력 물량 매도 또는 전량 정리

✅ 결론

매도 타이밍은 늘 불확실성을 동반합니다. 하지만 이동평균선의 교차와 추세선의 이탈이라는 이중 구조를 활용하면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매도 시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 2가지 기준을 함께 본다면, 손실 최소화와 수익 극대화가 가능한 매매가 실현될 수 있습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