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 포인트를 잡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은 항목을 만족할 때만이 매수시점으로 판단한다.
- 주가가 아래에서 위로 200일선을 상향할 때
- 단기 중기 장기가 우상향일 때를 찾는다.
- 이동평균선이 단기 > 장기 > 중기선을 넘어설 때를 먼저 살펴보자. 특히 십자형 형태로 교차되는 부분을 살펴보자.
- 차트의 흐름을 보고 패턴을 찾아보자.이동평균선과 같이 살펴보면 추세가 계속될지를 알 수가 있다.
- 장기선이 하향하다가 점점 평평해지는 부근을 찾아보자
먼저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주가가 200일선(녹색선)을 넘어서는 지점을 찾는다.
단기 중기 장기가 우상향이 예상되는 지점을 찾는다.
장기선(파란선)이 평평하게 되는 부분을 찾아보자
좀 더 매수시점을 확대해 보자
단기(빨간 선) 선이 장기선(파랑선)의 위로 올라가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건 추세가 이제는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 초입기로 들어섰다는 이야기다. 자세히 보면 단기선이 장기선을 거의 십자형으로 교차한 것을 볼 수가 있다.
또한 단기선이 200일선(녹색선) 위로 올라간 것으로 보아 추세가 확실히 전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가격이 200일 선위에 있고 장기선이 평평한 가운데에 있으면서 단기선이 장기선을 십자형태로 크로스한 부분을 체크한다.
위의 차트를 보면 A에서 하락하다가 잠깐동안의 밀집구역이 생긴 다음 다시 기존추세대로 하락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A와 B의 길이가 거의 같은 경우가 많다.
잉태형과 망치형의 저점으로 인해 지지영역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주가는 W자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패턴 형성 시 밀집구역의 저점은 저항선역할을 하고 있으며 밀집구역의 고점은 지지선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W형 차트 패턴을 보면 아래에는 지지영역이 있고 오른쪽에는 패턴의 시작점인 전 고점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W자형의 패턴은 전 고점들이 저항선역할을 한다. 전 고점을 이탈했을 시 주가는 상승하며 상승폭의 길이는 보통 패턴이 만들어지는 저점과 전고점까지의 폭의 길이정도까지 상승한다. 상승폭의 길이는 거의 C와 D까지의 길이는 거의 같다.
이후로 상승 창이 형성되어 강한 상승이 예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요약을 해보면 이동평균선으로 매수지점을 찾고 차트패턴으로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면 매수시점의 포인트라고 판단하면 된다.
언제까지 주가의 지속이 될지는 이동평균선의 단기 중기 장기선의 폭의 넓이(폭이 점점 좁아져 단기가 중기선 아래로 내려갈 때)를 가늠해서 매도 포인트를 판단하고 또한 차트패턴의 저점과 고점의 길이를 파악하면 알 수가 있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매수, 매도 규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함께 활용하는 최적의 투자 전략 (6) | 2025.03.14 |
---|---|
주식 투자에서 가장 신뢰도 높은 기술적 분석 방법 TOP 10 및 최적의 조합 (0) | 2025.03.13 |
성공 투자를 위한 4가지 핵심 전략: 산업 분석부터 리스크 관리까지 (4) | 2024.09.29 |
나만의 종목 선정 규칙 (4) | 2024.09.18 |
주식 거래 규칙 (8) | 2024.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