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type html>
집게형 캔들패턴의 특징과 반전 신호: 변형 패턴까지 완벽 정리
집게형 캔들패턴이란?
집게형 캔들패턴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연속된 캔들로 구성되며, 첫 번째 캔들의 몸통이 크고 두 번째 캔들의 몸통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조합은 시장의 추세가 약화되고 반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전형적인 집게형 패턴의 구조
- 첫 번째 캔들은 강한 상승 또는 하락 추세를 나타냄
- 두 번째 캔들은 첫 번째 캔들의 고점/저점에서 멈추며, 반대 방향의 캔들로 형성
- 꼬리가 거의 없고 몸통 중심으로 움직임
변형된 집게형 패턴과 반전 가능성
전형적인 집게형이 아닌, 위치나 상황에 따라 다른 패턴과 결합된 변형형태도 강력한 반전 신호를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한 저항 또는 지지 구간에서 나타난다면 전형적인 패턴이 아니더라도 매수 또는 매도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변형 패턴에서 유의할 점
- 다른 기술적 지표와 함께 확인해야 신뢰도 상승
- 봉의 상대적 크기와 꼬리의 위치에 주목
- 출현 위치가 중요: 고점 또는 저점 근처일수록 신뢰도 ↑
집게형 캔들패턴을 활용한 트레이딩 전략
집게형 캔들패턴은 단기 트레이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Investopedia의 Tweezer Pattern 설명처럼 기본적인 캔들 해석 외에도 지지/저항 분석, 거래량 추이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전 적용 팁
- 지지선 근처에서 나타나는 집게형 하단 → 매수 시그널
- 저항선 근처에서 나타나는 집게형 상단 → 매도 시그널
- MACD, RSI 등의 보조지표와 함께 활용
관련 콘텐츠
상승 집게형 캔들은 캔들 패턴으로서 하락세 바닥에 나타나며 첫 번째 캔들과 두 번째 캔들의 저점이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락 반전신호이다.
두 번째 캔들로 관통형, 망치형, 잉태형이 올 수가 있다.
하락 집게형 캔들로서 하락 반전신호 캔들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캔들의 고점이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승 추세 끝에 주로 나타나며 두 번째 캔들로는 흑운형, 교수형, 도지형, 잉태형, 유성형이 올 수가 있다.
주봉으로 관찰 시 하락세에서 나타난 상승집게형이다. 첫 번째 캔들이 크고 두 번째 캔들이 조금 작다 두 캔들의 저점은 같다. 그러므로 전형적인 상승집게형으로 볼 수가 있고 집게형의 저점은 지지선역할을 하고 있다. 지지선을 재 확인 해주는 도지형의 캔들이 2주 연속으로 나타난 후 주가는 장대양봉으로 시작하여 급등한 것을 볼 수가 있다.
저점에서 지지영역임을 재 확인 해주는 캔들을 잘 관찰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집게형의 특징 하나는 일중이나 일간에서는 강한 반전신호가 같이 함께 나타나야만 반전신호가 강하고 그렇지 않고 단독으로 두 캔들이 나와 집게형을 형성하면 반전신호가 약하다.
하지만 주봉이나 월봉으로 보면 저점이 같거나 고점이 같은 경우에 반전신호가 강하다. 이유는 주봉은 일주일 간의 가장 높은 고점과 저점으로 만들어진 캔들이므로 한 주간의 세력을 표현해 주는데 하락세에서 전 주와 저점이 같은 캔들이 나온 경우라면 바닥을 다지고 있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고 그다음 주 캔들의 고가가 전 주의 종가나 고가를 넘어선다면 상승반전신호라고 생각할 수 있다.
상승반전 신호도 마찬가지로 같은 시장의 원리로 생각하면 된다.
강한 상승 반전을 가지려면 상승집게형의 형태에서 두 번째 캔들이 강한 반전신호인 망치형이나 잉태형이라면 상승집게형으로 인한 지지영역을 재 확인해 주는 신호이므로 재 상승 가능성이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하락 집게형에서도 마찬가지로 고점이 같으면서도 두 번째 캔들이 하락반전신호를 가진 캔들이라면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하락은 주봉에서 보다는 민감하게 신호를 포착해야 하므로 일봉으로 관찰하는 게 매도 시 유리하다.
매수, 매도 시 주의해야 할 것은 추세 중간에 반전집게형이 나타났다 해도 바로 반전하지는 않는다. 전체적인 추세의 흐름을 살펴봐야 한다. 추세의 흐름을 봤을 때 현재의 주가가 과매도 상태인지 과매수 상태인지를 살펴보고 그런 상태가 아니라면 기존의 추세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RSI와 이격도를 보면 과매수 과매도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반전신호들은 상승의 고점과 바닥의 저점에서 나타나야 진정한 반전신호로써 의미를 가진다.
추세를 보고 상승세의 고점인지 전고점에 저항이 있는 지를 살펴보고 하락세의 바닥인지 지지영역을 재 확인 해주는 것인지를 잘 살펴봐야 한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캔들과 캔들 패턴의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삼병 (2) | 2024.10.10 |
---|---|
샅바형 캔들패턴 완벽 정리: 상승·하락 반전신호 분석과 트레이딩 전략 (2) | 2024.10.08 |
역망치형 캔들패턴 분석 - 상승반전 신호의 핵심 (4) | 2024.10.01 |
유성형(Shooting Star) 패턴 분석과 투자 전략 (0) | 2024.09.30 |
저녁별 형 (0)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