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형 바닥(역 머리 어깨형)
본문 바로가기
언제 사고 팔 것인가?/차트패턴

삼천형 바닥(역 머리 어깨형)

by 기본을 지키자 2024. 10. 13.
728x90

삼천형 바닥

 

주가가 세 차례 바닥을 칠 때 이 패턴이 생긴다.

아래선은 지지선역할과 위선은 저항선역할을 한다.

삼천형의 바닥의 패턴도 바닥의 저점에서 생기며 매수시점은 두 번째  세 번째 바닥임을 재확인시켜주고 지지선임을 재확인해줄 때가 매수시점이다. 때때로 세 번 이상  바닥임을 확인시켜 주었지만 지지선을 뚫고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삼천형 바닥패턴

위의 차트를 보면 삼천형 바닥 패턴을 만든 후 주가는  지지선 아래로 내려간 것을 알 수가 있다.

주가는 지지선아래로 내려가므로  지지선이 저항선역할을 하게 되었다. 장대양봉이 긴 위그림자가 지지선이 저항선이 됨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그러면 더욱이 긴 플랫폼을 형성하거나 박스권을 형성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하지만 이렇게 긴 시간 동안 플랫폼을 형성한다면 상향이탈 시 크게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차트에서는 위의 차트처럼 정석으로 삼천형 바닥으로 생긴 차트도 많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그래서 저점에서 그은 선으로 바닥의 세 번째 바닥인지를 확인하고 상승반전캔들이 나오는가를 꼭 확인해야 한다.

역 머리 어깨형 패턴

역 머리 어깨형 패턴도 주가의 바닥에서 형성되며  바닥 중 양쪽 어깨패턴을 사이에 있는 머리패턴의 바닥이 더 낮다.

거래량을 보면 첫 번째 바닥에서 거래량이 늘고 천장에 갔을 때 줄어든 다음 다시 두 번째 바닥에서는 거래량이 많이 늘다가 세 번째 바닥에서는 거래량이 많이 줄어든다.

또한  머리 어께형 처럼 목선이 있다. 목선은 패턴의 고점을 이은 선으로 저항선역할을 한다.

반등할 때 매수시점은 반드시 종가가 목선의 저항선을 넘어서야 하며 저항선은 지지선 역할을 하는 것을 재 확인할 때가 매수시점이다.

역 머리 어깨형 차트패턴도 위의 차트처럼 나오는 경우도 더러 있지만 대부분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어깨가 둘 있던지 머리가 둘 또는 양쪽 어깨가 둘씩 있다. 패턴의 모양도 다양하게 나온다. 하지만 추세선을 그어 차트패턴의 바닥과 목선이 확인된다면 역머리 어깨형으로 간주해도 된다.

역머리 어깨형 패턴

역 머리어깨형 패턴이며 종가가 목선 위에서  지지됨을 알 수가 있고 캔들은 망치형으로써 상승반전신호 캔들이 나타나 추후에 상승을 알리고 있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차트패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승 확대 쐐기형 패턴  (4) 2025.03.09
하락쐐기형  (0) 2025.01.15
패넌트 형  (0) 2024.09.20
하락 쐐기형  (0) 2024.09.19
역 머리 어깨형  (0) 2024.09.13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