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산형(三山形) 차트 패턴: 고점에서의 반전 경고
주가가 상승을 거듭하다가 일정한 고점에서 반복적으로 저항을 받으며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 전환하는 형태를 삼산형(三山形)이라 부릅니다. 이는 헤드 앤 숄더 패턴과 유사하지만, 보다 직관적인 세 개의 산 모양을 그린다고 하여 이름 붙여졌습니다.
1. 삼산형의 정의와 구성
- 주가가 세 번의 고점을 만들고, 매번 상승을 시도하나 결국 실패
- 각 고점은 유사한 가격대에서 형성되며, 명확한 저항선이 존재
- 세 번째 고점 이후 반전형 캔들 출현 시 하락 가능성 매우 높음
2. 대표적인 하락 반전 캔들 패턴
- 도지형: 매수·매도세 균형 → 방향성 불확실
- 유성형(유성선): 상단 꼬리 → 매도세 유입
- 교수형: 긴 아랫꼬리 음봉 → 상승 피로 신호
- 흑운형, 하락장악형, 하락집게형: 명확한 반전 경고
3. 실전 차트 분석 시 유의사항
- 저항선 정확히 설정: 고점이 유사한 가격대인지 확인
- 최소 2회 이상 저항 확인: 신뢰도 상승
- 세 번째 고점 이후 반전 캔들 출현 여부 확인
- 4차 고점 돌파 시 패턴 무효화 가능성 존재
4. 삼산형의 심리적 해석
시기 | 형성된 패턴 | 시장 심리 |
---|---|---|
1차 고점 | 첫 번째 산 | 상승 피로, 일부 차익 실현 |
2차 고점 | 두 번째 산 | 재차 시도, 그러나 강한 저항 부딪힘 |
3차 고점 | 세 번째 산 | 상승 모멘텀 소멸, 매수심리 약화 |
3차 이후 | 반전형 캔들 출현 | 매도 전환, 하락 가능성 본격화 |
5. 실전 매매 전략
✅ 세 번째 고점에서 반전형 캔들 출현 시 매도 전략 고려
✅ 저항선 돌파 여부 철저히 체크 (돌파 시 패턴 무력화 가능)
✅ 지지선 이탈 시 → 하락 추세 본격화 가능성 ↑
6. 결론: 고점에서의 '지속 실패' 시그널
삼산형 패턴은 고점을 반복적으로 돌파하지 못하는 시장의 포기 현상을 나타냅니다. 비록 완벽한 삼각형 형태가 아니더라도, 고점의 반복, 저항선 확인, 반전 캔들 출현의 흐름만 확인된다면 유효한 경고 신호로 작용합니다.
🔗 관련 콘텐츠
#삼산형패턴 #차트패턴 #헤드앤숄더 #고점반전 #저항선 #하락반전 #도지형 #기술적분석
삼산형 차트패턴이다. 고가에 선을 죽 그어보면 고점에서 생긴 저항선에 주가가 부딪혀 하락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3번이라고 쓰여 있는 지점에서는 하락장악형의 캔들이 나와 하락세를 예고하고 있다.
보통 마지막 세 번째 나 네 번째 캔들은 하락반전형 캔들이 나오고 하락세가 시작된다.
첫 번째 캔들에서 위그림자 긴 캔들이 나와 조정을 받으며 하락할 것을 예견하였고 두 번째의 고점이 저항선에 부딪혀 패턴의 형성을 만들어 가고 있다. 그 후로도 캔들의 고점이 저항선에 부딪히는 것을 알 수가 있어 추가하락을 예견하고 있으며 세 번째 캔들에서는 하락장악형을 형성함으로 써 하락세의 시작을 알렸다.
위의 차트는 삼산형 패턴이면서도 상승 삼각형 패턴이다. 세 번째 고점에서 주가가 저항선을 넘어섰고 저항선은 지지선이 되어 머리 어깨형 차트패턴을 지지하고 있다.
삼산형 첫 번째 캔들에서 위그림자가 길어 주가는 하락을 하였고 다시 잉태형에서 반등하였지만 고점의 저항선에 계속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점점 캔들의 몸통이 작아져 상승세가 약화되었지만 종가가 저항선을 넘어지지 되었다.
그 후 패턴은 머리 어깨형 패턴을 만들었으며 목선은 지지선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세 번째 캔들에서 목선 아래로 캔들이 발생해 하락세가 발생하였고 추후에 다시 재차 반등을 시도하였지만 목선이 저항선 역할도 함으로써 반등시도한 캔들은 저항선을 넘어서지 못한 것을 볼 수가 있다.
삼산형과 비슷하지만 첫 번째 고점보다 두 번째 고점이 더 높고 세 번째 고점이 두 번째 보다 더 낮은 머리어깨형 패턴이 있다.
이 패턴도 천정에서 형성되는 패턴이며 마지막 세 번째 고점에서 하락반전 신호 캔들이 나오거나 목선을 연결해서 주가가 그 밑으로 내려가면 매도시점이라 생각해야 한다.
목선은 패턴형성 시 저점을 연결한 선인데 주가가 이 목선 아래로 내려가면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목선은 저항선 역할을 하
프로 만일 주가의 종가가 목선을 넘어서고 지지선역할을 재 확인 해준다면 상승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량과 캔들 형태를 잘 살펴봐야 한다.
목선은 지지선 역할을 하며 주가가 목선 아래로 내려가면 목선은 저항선이 된다.
매수시점을 다시 생각할 때에는 반드시 종가가 목선 위로 생성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머리 어깨형 패턴은 어깨가 둘이 있을 수도 있고 오른쪽 어깨가 둘이 있을 수도 있다.
머리 어깨형의 지지선을 보면 주가가 지지선 아래로 하락이탈하였다가 다시 상승을 하였지만 지지선이 저항선 역할을 한 것을 다시 확인할 수가 있다.
목선을 보면 목선도 지지선이 저항선 역할을 한 것을 알 수가 있다.
손잡이가 달리 컵모양의 패턴을 형성한 후에 고점에서 머리어깨형 패턴을 이루고 하락하고 있다.
실제로 패턴은 자주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가 있고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찾아 추세선을 그어보며 차트패턴을 찾아야 한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차트패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눌림목 패턴 이후 주가 재상승 전략 | 눌림목 매매기법 완전 분석 (0) | 2025.04.16 |
---|---|
피보나치 되돌림과 자주 나타나는 차트 패턴 6가지 분석 (0) | 2025.04.16 |
삼중천정형 패턴 분석: 상승 추세 속 불안한 고점 구조 (0) | 2025.04.08 |
하락 삼각형 차트패턴 종합 분석 (0) | 2025.04.06 |
삼중상승 바닥형 완벽 분석: 반등 전환의 대표 패턴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