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분석(에이치브이엠)
본문 바로가기
6가지 기술 지표를 이용한 주가 차트 분석/스윙 트레이딩 기록

차트 분석(에이치브이엠)

by 기본을 지키자 2024. 9. 26.
728x90

저 번에 매수했다 지지를 보고 다시 재매수하려고 잠깐 팔았던 종목인데 역시나 지지가 형성되었고 오늘 종가를 보니 몸통은 기존보다 커 매수세가 매도보다 강한 것을 알 수가 있고 거래량도 조금씩 늘어나는 것을 보니 매집을 하고 있으며 만일 주가가 저항선을 넘는다면 매수기회로 삼아야 한다. 또한 주가가 5일 선위로 계속 올라가거나 저항선 돌파하고 나서 잠시 조정을 거쳐 5일 선위로 팽이형 또는 망치형으로 안착하는 경우에는 강력한 매수기회이다. 이때 거래량은 거의 말라있어야 한다.

 

 

9월 23일 

8월 말에 예상대로 장대양봉 후에 거래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봐서 매집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두 번째 장대양봉 이후 저항선을 주가가 넘으면 매수기회라고 했는데 주가는 저항선을 넘기지 못하였다. 주가는 저항선 밑으로 하락하다가 장대양봉 몸통 반절에 지지가 생겨 다시 반등하였고 위에 언급한 것처럼 주가가 5일 선위로 올라가거나  저항선(하향추세선) 위로 올라갈 때 강한 상승 추세를 가진다고 언급했었다. 위의 차트를 보면 반등 후에 주가는 5일 선위로 팽이형 형태로 올라가고 있으며 거래량도 거의 없는 상태였다.   

그러면서 이동평균선이 우상향 상태이며 캔들이 작은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거래량이 없다가 조금씩 늘어갈 때가 매수기회다.

또한  하향 추세선을 뚫고 상향이탈을 한 것을 알 수가 있다.

정리하자면 장대양봉 출현 시 조정이 오는 구간을 잘 살펴야 한다. 반드시 기회가 온다.

또한 조정이 왔을 때 반등 후 주가의 움직임이 우상향을 만들고 5일 선위에 안착하는 지를 지켜봐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거래량이 거의 없다. 

5일 선위의 캔들모양이 팽이형이거나 망치형일수록 강한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하향 추세선을 뚫은 주가

 

 

여기가 매수 시점이다.

 지지선에서 상승 장악형이 생겨 주가가 반전하였고 하락갭을 3일 만에 장대양봉이 메꿨다. 이 신호는 강한 상승 반전신호로 여길 수 있다. 상승장악형의 음봉을 완전히 감싸는 양봉의 몸통의 크기와 하락갭을 3일 만에 메꾸는 장대양봉은 강한 신호다

두 번째 매수기회

주가는 상승하다가 고점의 음봉에 의한 저항선에 부딪혀 하라미 캔들을 형성하면서 주가의 하락을 다시 예고하였다. 주가는 하락하다가 다시 양봉의 몸통의 반절에서 지지되며 적삼병(전날의 캔들의 고점과 다음 날 캔들의 시가가 같다)이 출현하면서  계속 적인 상승을 하고 있다.

또한 하락추세선을  상향이탈하여 매수 시기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여기서 배워야 할 것은

주가 상승(장대양봉) 후   조정을 받아 전  지지선영역에서 반등한다면 처음 장대양봉으로 인해 주가가 상승했던 것보다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시장의 매수심리와 관계가 있다. 이미 한 번 올랐던 주가의 형태를 보고 강한 매수심리가 작용한 것이다.

 

9월 26일 현재

 

9월 26일 현재 장대 양봉 후 건강한 이틀 연속 음봉이 나왔다. 하지만 앞전에 장대양봉에서의 거래량은 평균보다 높고 하향 추세선을 이탈했기 때문에 조정을 받으면 14200선에서 조정을 받을 것이라 예상한다. 만일 오늘 나오는 캔들의 종가가 장대양봉의 지지를 받는 다면 추가적인 상승을 예상해 볼 수 있다.

 

 


 

9월27일 기록

장대양봉의 지지를 받고 있다

27일 종가가 장대양봉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그 다음 날도 종가가 고가에 가까운 캔들을 형성하며 음봉의 몸통을 상당히  많이 감싸고 있는 형태를 띄고 있다.

또한 추세선을 그어 보면 추세선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주가는 더 올라갈 것으로 판단된다.

 

전 고점을 넘어선 주가의 종가

종가가 전 고점을 넘어선 것을 볼 수가 있다.

이것은 오닐의 손잡이가 달린 컵모양과 차트 모양이  비슷하게 생겼다.

거래량 감소 뒤에 전고점을 넘어설 때 거래량이 증가하고 약간의 조정을 거친 후에 다시 전고점을 넘어서고 있다. 이동평균선도 우상향 상태이며 긍정적인 신호로 판단된다.

만일 주가가 조정을 받아 횡보를 해서 50일선에 가까워진다면 긍정적인 신호로 간주한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