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의 고점에서 나타나는 패턴이며 고점에서 캔들의 몸통의 크기가 작아지고 양봉을 감싸는 음봉의 캔들이 나타나며 갭하락으로 주가가 하락하는 하락반전신호이다.
만두형 천장형 패턴은 상승세 고점에서 고가가 낮아지면서 주가 흐름이 바뀌는 것을 나타나며 결정적으로 하락갭이 나타난다.
모양은 처음에는 장대양봉으로 시작하다가 점점 캔들 몸통의 크기가 작아져 그 모양을 보면 가운데 볼록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꼭 볼록한 모양은 아니지만 그 볼록한 모양의 형태를 취하는 영역에 팽이형 캔들과 그리고 하락반전신호를 가진 캔들이 나타난다.
강한 하락반전신호가 나타난 후 하락갭이 발생하여 주가의 하락을 더욱 강화시킨다.하락갭의 크기는 작아도 프라이팬 패턴을 완성하는데는 충분하다.
위의 차트를 보면 먼저 장대양봉이 나타나 주가의 강세를 견인하고 있다. 하지만 곧이어 위 그림자가 긴 캔들이 나타나며 곧이어 하락집게형 캔들이 긴 위 그림자를 가지고 나타나 강한 매도세의 압력을 말해준다. 두 개의 캔들은 하락집게형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잘 살펴봐야 한다. 하락집게형은 반전신호이며 위 그림자가 길다는 것은 장중에 고점에 도달했지만 장 마감 시에는 공급량이 많아서 그 전날 캔들의 몸통 안으로 깊숙이 종가가 형성되었다. 이것은 강한 반전신호로 볼 수가 있다. 그다음 날은 갭하락이 매도세의 강한 압력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하락갭은 강한 압력 때문에 저항선을 만들며 다른 캔들이 저항선임을 재 확인시켜 줄 때에는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이로서 만두형 천장형의 패턴이 완성되었고 주가의 하락을 말해 주고 있다.
갭하락은 3일안에 메꾸지 않으면 추세는 그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장대양봉> 위 그림자 긴 캔들과 팽이형 캔들 > 하락반전신호 캔들> 하락갭형성
다른 예시를 보자
장대양봉의 출현 후 위 그림자 긴 캔들이 나왔다. 그 이후로 잉태형을 형성하였다. 1번은 하락 잉태형으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고점에서 유성형을 취하고 있어 하락반전신호를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2번은 하락장악형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에서 위 그림자 긴 것을 볼 수가 있어 하락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그다음 날도 계속적으로 잉태형 패턴과 유성형 단독 캔들을 형성하였고 또 다음 날 하락갭을 형성하여 매도세의 압력이 크다는 것을 입증시켜주고 있다.
그 이후로 장대음봉과 장대양봉이 나왔지만 장대양봉은 유성형의 저항선에 부딪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다음 날도 거대한 장대음봉의 흑운형이 형성되어 강한 하락세가 시작될 것을 알려주고 있다.
위의 차트를 보면 전형적인 만두형 패턴을 가지고 있다.
장대양봉뒤 고점에서 위 그림자가 긴 캔들이 나타나 고점에서의 매수세가 약해져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그리고 고점의 위치에서 십자형 도지가 나타나 주가의 상승기조의 어려움을 표현해 주고 있다. 그다음 날도 하락집게형고 팽이형 캔들 그리고 하락갭이 형성되어 전형적인 만두형 천장패턴을 완성하였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캔들과 캔들 패턴의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팽이형 캔들: 추세 전환의 신호인가? (0) | 2024.10.18 |
---|---|
장대음봉 후 망치형 캔들 출현: 반전인가 함정인가? (2) | 2024.10.16 |
프라이팬 바닥 형(상승반전패턴형) (0) | 2024.10.14 |
하락반격형 (3) | 2024.10.13 |
상승 반격형 (0) | 202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