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는 시가와 종가가 같은 캔들의 형태로

매수세와 매도세가 균형을 이룰 때 즉 서로 간의 줄다리기할 때 이런 형태의 캔들이 나타난다
시장의 심리로 보면 주가의 방향을 알 수가 없고 갈길을 잃었다고 볼 수가 있다.
도지형태를 잘 관찰해야 할 이유가 있다.
도지가 상승 고점에서 나타난다면 더구나 장대양봉이 계속 적으로 나오다가 몸통의 크기가 작아져 고점에서 도지형이 나온다면 매수세가 약해지고 강한 매도세가 압력을 가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즉 도지는 고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저점에서도 하락세에서 음봉의 캔들의 몸통이 점점 작아지고 도지가 나왔다면 매도세가 줄어들고 매수세가 서서히 들어와 줄 다리기를 하고 있다는 뜻이다.
즉 도지형은 매수세와 매도세가 줄다리기를 하는 것으로 주가가 어디로 갈지 그 방향을 알 수가 없다. 그래서 도지형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그다음 날 캔들을 확인해야 한다.
고점에서 도지가 나타나 다음 날 도지 몸통 아래도 시가가 형성되어 음봉이 나타난다면 하락세로 전환되는 것이고 저점에서 도지 다음에 양봉의 캔들이 나타난다면 매수세가 더 강하게 들어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도지형이 고점이나 저점 말고 상승세 중간에 하락세 중간에 나온다면 어떤 의미인가? 그런 경우는 큰 의미가 없다. 계속적으로 같은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상승세 중에 생긴 도지 후에도 계속 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고 하락세중에는 계속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도지가 나타났을 때 의미 있는 반전신호를 찾으려면 고점 또는 저점에서 찾으라 더욱이 샛별형 또는 저녁별형에서 도지형 샛별 형 또는 도지형 저녁별형이 몸통이 살짝 걸친 샛별형과 저녁별형보다는 반전신호의 크기가 크다



완전한 도지형은 아니지만 몸통이 짧다. 이건 기존의 추세가 약화 되었다는 뜻이고 두 번째의 몸통이 첫 번째와 세 번째 캔들의 몸통과 떨어져 있다. 하락세 저점이거나 상승세 고점에서 이런 모양의 캔들이 나오면 잘 살펴보자.반전신호의 크기가 크다
몸통이 서로 겹치지 않는 도지형이다 상승 반전신호가 몸통이 겹치는 것보다 크다.

상승 고점에서 나타나 하락세를 예상하고 있으며 저점에서 나타난 도지는 상승반전신호를 알려 주고 있다.
또한 도지는 고점에서는 저항선을 저점에서는 지지선을 나타낸다.

도지형 캔들의 저점은 지지선을 나타낸다.

도지형의 캔들은 고점에서는 저항선을 나타낸다.


'언제 사고 팔 것인가? > 지지 및 저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성형 캔들이 고점에서 하락 반전 신호인 이유 | 기술적 분석 (0) | 2024.10.01 |
---|---|
긴 윗꼬리 캔들의 의미와 추세 변화 신호 분석 (0) | 2024.09.30 |
샛별형 저점은 왜 지지라인이 되는가? - 심리 기반 차트 분석 (0) | 2024.09.21 |
지지선 역활 (0) | 2024.09.20 |
관통형 캔들패턴 분석 - 상승 반전 매매 신호 전략 (0) | 2024.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