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을 지키자 2024. 11. 11. 21:40
728x90

비석형 도지

비석형도지 캔들을 보면 시가와 종가 그리고 저가가 같은 것을 알 수가 있고 고가와는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몸통의 크기도 시가와 종가가 같기 때문에 몸통의 크기는 일직선이다. 일직선이 아니더라도 시가와 종가가 가까워 몸통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석형도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가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도지로서 의미를 부여할 수가 있다.

  • 상승세의 고점에서 나타나거나 하락세의 저점에서 도지형이 나타날 때 그러한 경우이다.
  • 주가가 과매수 상태이거나 과매도 상태일 때 도지형의 의미를 갖는다.
  • 주가가 여러 큰 캔들이 나오다가 오랜만에 몸통이 짧은 도지형이 나오면 의미가 있다.
  • 주변에 몸통이 짧은 팽이형이 많다가 도지형이 나오면 그렇게 큰 의미가 없다.

그러면 비석형도지 캔들에 대한 시장심리를 파악해 보자.

비석형도지가 생긴 이유를 시장심리를 통해 살펴보면 장 시작 처음에는 시가로부터 주가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몸통의 크기는 점점 시가로부터 위로 올라가게 된다. 즉 매수세의 시장장악력이 매도세를 압도하고 있는 것이다. 점점  몸통이 시가로부터 멀어지고 위로 커지면서 매수세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긴 장대양봉을 생성하고 있다. 이것은 공급보다는 수요가 많다는 의미가 된다.

 이에 거래량도 점점 증가하여 거래량의 크기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어떤 이유인지 여러 가지 시장변수로 인해  꽤 많이 높이 올라갔던  주가는 고점을 형성하고 주가는 다시 점점 하락하다가 결국 장 마감 때에는 시작가와 종가가 같은 상태가 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주가가 고점에 머물러 시장지배력을 잃어버렸던 매도세력이 다시 한번 시장을 장악함으로써 매도세의 압력이 커지고 매수세의 시장장악력은 점점 약해져 장 마감 때에는 매수세의 압력이 소멸된 것이다.

특히 위 그림자가 아주  길고  주가의 고점에서 출현하였다면 완전한 하락반전신호이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때는 거래량의 크기도 크다. 거래량을 잘 살펴보면 매도세거래량이 매수세거래량보다 비율이 크다.

즉 비석형의 도지는 시장의 약세를 나타내주는 캔들이다.

특히 비석형도지의 출현 위치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진다. 상승세중에 생긴 비석형도지 , 특히 상승세 고점에서 생긴 비석형도지는 하락반전신호를 나타내며 저항영역을 갖는다. 또한 장대양봉 뒤에 나타난 비석형 도지는 하락반전신호로서 의미가 더 크다. 유성형 캔들과 마찬 가지로 저항선을 나타내며 하락반전신호를 갖는다.

중간중간에 팽이형 캔들에 껴있으면 그렇게 큰 의미는 없다. 또한 하락세중에 비석형도 지가 출현하면 역망치형 도지와 같은 성격으로 주가의 저점임을 암시해 주고 다른 상승 반전신호와 함께라면 지지영역임을 재 확인 시켜주기도 한다.

정리하자면 

  • 위치에 따라 비석형의 도지는 의미가 달라진다.
  • 위 그림자가 길 수록 반전신호가 크다.
  • 중간에 나타나거나 중간중간에 팽이형 캔들이 같이 있다면 큰 의미가 없다.
  • 과매수 또는 과매도 일 때 의미가 있다.
  • 장대양봉 뒤 또는 장대음봉 뒤에 나타나는 비석형도지는 의미가 있다.

비석형 도지

작은 비석형 도지가 나왔지만 주변에 도지형과 팽이형들이 많아서 비석형도지는 큰 의미가 없다.

하락세 중에 나타난 비석형 도지

하락세 중에 나타난 도지라도 그전에 비석형도지형이 의미가 없다면 별 다른 의미가 없다. 

하락세 중 저점을 알려주는 비석형 도지

 

하락세중 장대음봉 뒤 비석형도지는 의미를 갖는다. 주가의 저점을 알려주고 상승반전신호로서의 역할을 한다.

비석형 도지

비석형 도지는 때때로 지지선을 재확인 하는 역할을 한다. 장대양봉의 지지선영역임을 비석형도 지형과 키다리도지형과 십자형이 도지형이 연속적으로 지지영역임을 알려주고 있다.

고점에서 나타난 비석형도지

상승세 중 고점에 나타난 비석형 도지는 하락반전신호이다.

고점에서 나타난 비석형도지는 하락반전신호로서 역할을 한다. 그 며칠 전부터 위그림자가 긴 캔들이 출현함으로써 주가의 고점인 것을 암시하고 있으며 비석형과 하락장악형 캔들이 출현함으로 주가는 하락하기 시작하였다.

비석형도지

 

장대음봉뒤 비석형도지는 주가의 저점임을 시사해 준다. 장대음봉 뒤 비석형도 지가 나와 저점인 것을 알려주고 캔들의 패턴은 잉태형으로서도  상승반전신호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다음 날 아래꼬리가 긴 양봉이 나오며 도지를 완전히 감싸 추세가 전환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